한덕수 국무총리가 22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열린 AI 글로벌 포럼 개회식에서 축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파이낸셜뉴스] 인공지능(AI) 분야의 세계적 석학부터 구글, 오픈AI,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등 글로벌 빅테크 임원들이 안전한 AI 활용 방안을 논의하는 AI 글로벌 포럼이 22일 열렸다.
이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AI 글로벌 포럼에는 앤드류 응 스탠포드대 교수 등 AI 석학을 비롯해 오픈AI, 마이크로소프트, 앤스로픽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임원, 정부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개회식에서 이번 정상회의와 글로벌포럼의 주제인 '안전·혁신·포용'을 거론하며 "안전은 AI에 대한 대중의 신뢰를 강화한다.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 AI 경쟁력과 지속가능성을 가늠할 중요한 요인이다.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중요한 동맹자인 혁신과 포용도 중요하다"며 "AI 혜택이 우리 사회와 전 세계적으로 널리 공유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개회식에 이어 AI 분야 최고 석학 중 한 명인 앤드류 응 스탠포드 교수와 메사추세츠 공과대학(MIT) 교수 출신 마크 레이버트 보스턴다이내믹스 회장의 기조강연이 이어졌다.
국내외 AI 선도 기업들이 AI 책임, 발전, 혜택 등 기업이 추구해 나갈 방향을 담은 자발적 약속인 '서울 기업 서약'도 발표됐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오픈AI, IBM, 엔스로픽, 코히어, 세일즈포스, 어도비, 삼성전자, LG AI연구원, SKT, KT, 네이버, 카카오 등 14곳이 참여했다. 이들은 책임 있는 AI 개발과 사용을 위해 AI 안전연구소와 협력을 강화하고, 워터마크 등 AI가 생성한 콘텐츠 식별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또 지속가능한 협력과 발전을 위해 최첨단 기술 개발 투자, AI 서비스 개발에서 다양성과 포용성을 장려할 것을 약속했다.
AI 글로벌 포럼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진행되는데, 오전에 예정된 고위급 라운드 테이블 3개 부문은 모두 비공개다. 첫번째 고위급 라운드테이블의 주제는 'AI혁신 미래 탐색 : 개방적이고 협력적인 모델이 핵심인가'다. AI 개발을 적극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탐구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두가지 혁신의 가능성 있는 엔진인 오픈소스 AI와 공개 접근 데이터베이스를 중점적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고위급 라운드테이블 두번째와 세번째 주제는 각각 '포괄적인 안전 거버넌스 : AI 위험의 전 범위 식별 및 대응', 'AI의 혜택 공유 및 거버넌스 체계의 포용성 강화'다. 각각의 세션에선 AI 위험의 주요 범주 식별, 잠재적 충돌 가능성을 비롯해, AI 포괄적 거버넌스 체계 개발 등을 두고 논의가 오간다.
오후에 진행될 전문가 세션2개는 공개 행사로 진행된다. 세션 1은 염재호 태재대 총장이 좌장을 맡아 강도현 과기정통부 2차관의 기조연설로 시작된다. 주제는 '디지털 공동번영 사회를 위한 디지털 권리 보장'이다. 세션 2는 '디지털 권리, AI 기회·혜택'을 주제로 토니 가프니 벡터 연구소 최고경영자(CEO)가 의장을 맡아 AI가 가져오는 기회 및 혜택의 전세계 확산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한다.
한편, 이날 포럼에는 구글 딥마인드의 톰 루 부사장을 비롯해 오픈AI의 샘 알트먼 CEO의 측근으로 분류되는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 오픈AI의 최대 라이벌로 꼽히는 미국 스타트업 앤스로픽의 잭 클락 공동창업자, 크리스티나 몽고메리 IBM 최고개인정보보호·신뢰책임자, 롭 셔먼 메타 부사장 및 부수석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사바스티안 나일스 세일스포스 최고법률책임자(CLO) 등이 참석했다.
국내에선 강도현 과기정통부 2차관을 비롯해 하정우 네이버 퓨처AI센터장, 배순민 KT 책임감있는AI센터장, 이상호 카카오 최고AI책임자(CAIO), 이홍락 LG AI연구원 최고AI과학자(CSAI) 등이 참여했다.
yjjoe@fnnews.com 조윤주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