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고령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

‘초고령사회’ 초읽기…마포구청이 1000인분 반찬 공장 만든 이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21일 효도밥상이 차려진 서울 마포구 망원2동 쌈지경로당에서 어르신들이 밥과 반찬, 국을 덜어 식사를 준비하고 있다. 마포구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돼지두루치기와 감자볶음, 숙주미나리무침, 고추지, 깻잎지, 김치에 밥과 미역국.

21일 찾은 서울 마포구 망원2동 쌈지경로당에 오전 11시를 조금 지나자 어르신들 30여명이 모였다. 각자 입맛에 맞춰 반찬을 덜어 만든 7첩 반상을 삼삼오오 둘러앉아 먹는다. 이날 점심은 인근 반찬공장에서 만들어 나른 반찬과 국으로 차렸다. 밥만 이곳에서 지어 따뜻하게 내놓은 것이다.

지난달 15일 이후 이 경로당에 배달되기 시작한 반찬으로 어르신들은 매일 함께 점심을 한다. 소득 기준 없이 돌봄이 필요한 고령층을 대상으로 마포구가 주 6일 무료로 한 끼를 치리는 ‘효도밥상’이다.

내년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 65세 이상 인구는 1000만명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2030년이면 인구의 4분의 1이 고령층이다. 하지만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40.4%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국가 중 1위다.

이에 마포 지역에서는 지난해 4월부터 75세 이상 1인 가구는 누구나 집 근처 효도밥상으로 지정된 식당을 찾으면 점심을 먹을 수 있게 했다. 식당을 찾는 어르신들의 안부와 혈압·혈당 등 건강 상태를 점검해 도움이 필요하면 복지 서비스와 연계도 한다.

경향신문

21일 효도밥상이 차려진 서울 마포구 망원2동 쌈지경로당 앞에서 마포보건소 직원이 식사 전 어르신들의 혈당과 혈압을 측정하고 있다. 마포구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7개 식당에서 하루 160명분을 준비하는 것으로 시작한 효도밥상은 1년도 안돼 17곳, 500명 규모까지 확대됐다. 장소를 늘려달라는 요청이 많았지만 사업에 기꺼이 참여할 식당을 찾기는 쉽지 않았다. 마포구는 직접 반찬공장을 차리기로 했다.

망원유수지 인근에 연면적 246㎡의 ‘반찬공장’을 만들었다. 영양사가 식단을 짜면 조리사와 보조원들이 매일 6가지 반찬을 해 오전에 냉장으로 배달한다. 조리시설이 없는 곳에서도 효도밥상을 차릴 수 있게 돼 경로당과 노인정, 교회·사찰 등 종교시설 등의 참여가 가능해졌다. 급식소는 순식간에 33개로 늘어 하루 1000명이 이용할 수 있는 규모가 됐다.

마포구는 경로당을 중심으로 식사 준비 장소를 늘려 연말까지 1500명이 효도밥상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박강수 마포구청장은 “효도밥상은 고령층 주민들이 하루도 빠지지 않고 균형 잡힌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국비나 시비 지원 없이 구비로만 식비를 충당하고 있어 예산 확보가 관건이다. 참여 식당에는 1인당 5000원씩 마포구가 지원하고, 주민들이 쌀 등 식자재를 기부해 보탠다. 식당 사업주는 한 끼를 위한 공간과 편의를 제공한다.

반찬공장은 1인당 4000원의 원가로 음식이 준비된다. 정책 취지에 공감하는 기업과 개인 등이 생겨 1000여명의 후원자가 생긴 것은 호신호다. 4월 기준 기탁금품은 약 10억원에 달한다.

마포구는 16개 동주민센터 옥상에 상추 등을 키울 수 있는 스마트팜을 설치해 직접 채소류를 재배하기로 했다. 박 구청장은 “주말농장을 하는 주민들과 약정을 맺어 수확물 일부를 효도밥상의 식재료로 활용하는 등 부족한 예산을 극복할 여러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현장에서]“같이 먹으니 맛있어서 더 많이 먹지”…고령층 건강 루틴 만든 ‘효도밥상’
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401181553001


김보미 기자 bomi83@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윤 대통령의 마음 속 키워드는? 퀴즈로 맞혀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