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부동산 이모저모

집값, 양육비 탓에… 맞벌이 청년부부 세쌍 중 한쌍 DINK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정덕 기자]
더스쿠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맞벌이 청년부부(25~39세) 세쌍 중 한쌍 이상은 '딩크(Double Income No Kids‧맞벌이를 하면서 자녀가 없는 부부)'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국노동연구원이 발표한 '지난 10년간 무자녀 부부의 특성 변화' 보고서에 담긴 내용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청년부부의 무자녀 비중은 27.1%였다. 2013년 22.2%보다 5.3%포인트 커졌다. 2016년과 2019년을 제외하면 이 비중은 늘 전년보다 증가했다.[※참고: 해당 조사는 25~39세 청년부부에 초점을 맞췄는데, 대부분의 여성이 이 시기에 출산을 하기 때문이다.]

맞벌이 청년부부의 무자녀 비중은 36.3%였다. 2013년(21.0%)보다 15.3%포인트 올랐다. 반면 홑벌이 부부의 무자녀 비중은 2022년 기준 13.5%였다. 맞벌이 부부의 3분의 1 수준으로, 2013년(12.3%)과 비교해도 큰 변화가 없었다.

이 보고서 내용은 정부의 저출생 정책에 다양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런 맥락에서 내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우선 무자녀 부부의 자가 비중은 34.6%로 유자녀 부부의 자가 비중 52.0%에 비해 낮았다. 전세 비중은 무자녀 부부가 48.3%, 유자녀 부부가 35.9%로 무자녀 부부에서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 무자녀 비중을 보면 서울시가 45.2%로 상당히 높았다. 서울을 제외한 다른 지역은 무자녀 비중이 20%대에 불과했다. 수도권인 인천과 경기 역시 각각 25.7%, 20.5%였다.

주거 불안정성으로 인해 아이를 포기하는 건지, 아니면 무자녀이기 때문에 전세를 선호하는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서울시의 높은 주택가격이 영향을 주고 있다고 추측해볼 수 있는 대목이다. 집값이 비싸니까 아이를 포기하는 것 아니냐는 거다.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청년층 기혼 부부의 월평균 실질소득도 살펴봤다. 이 기간 무자녀 부부는 493만8000원에서 585만1000원으로 91만3000원 늘었다. 같은 기간 유자녀 부부는 463만7000원에서 570만4000원으로 106만7000원 늘었다.

물론 유자녀 부부의 소득이 더 많이 증가했다. 하지만 중요한 건 실질적인 소득이 유자녀 부부가 더 적었다는 점이다. 아마도 자녀 양육 등의 이유로 유자녀 부부의 경우 맞벌이가 아닌 홑벌이를 했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높은 양육비가 저출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의미다.

저축 성향도 살펴봤다. 무자녀 부부든 유자녀 부부든 모두 저축 비중은 줄었다. 다만 무자녀 부부의 저축 비중이 유자녀 부부에 비해 높은 경향성이 있었다. 미래를 대비한 저축 여력이 양육비 부담이 없는 무자녀 부부에게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더스쿠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스쿠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무자녀 부부와 유자녀 부부 중 아내의 경제활동 비중은 무자녀 부부에서 더 높았다. 무자녀 부부 아내의 취업 비중은 2013년 53.2%에서 2022년 71.0%로 17.8%포인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유자녀 부부 아내의 취업 비중은 36.6%에서 40.6%로 4.0%포인트 커지는 데 그쳤다.

무자녀 부부 아내의 76.7%는 상용직이었다. 직종별로는 전문관리직(36.8%), 사무직(32.4%), 서비스직(23.4%), 생산직(7.4%) 순이었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권익성 노동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직장 업무와 출산·양육 양립의 어려움으로 경제활동을 포기하는 경우가 유자녀 부부 아내에게 많다고 짐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무자녀 부부의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주거 지원 확대, 일·가정 양립을 촉진할 수 있는 지원 확대, 무자녀 부부 아내가 많은 노동시장 특징별로 출산 유인을 높일 수 있는 맞춤형 정책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조언했다.

김정덕 더스쿠프 기자

juckys@thescoop.co.kr

<저작권자 Copyright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