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한-OECD 공동 '디지털 사회 이니셔티브' 출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일 서명식 및 실·국장급 양자 면담 진행

한국 주도로 OECD 디지털 규범논의 주도

[이데일리 김혜미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공동 ‘디지털 사회 이니셔티브’를 공식 출범한다고 19일 밝혔다. 디지털 사회 이니셔티브는 OECD 회원국 간 디지털 규범 관련 상설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 향후 글로벌 인공지능(AI)과 디지털 규범, 거버넌스 논의시 대응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한국 주도로 신설됐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참여국은 정기적으로 회의를 통해 과기정통부의 디지털 심화대응 실태진단을 바탕으로 전세계가 마주한 디지털 심화의 사회적 영향을 진단하고, 각국 디지털 심화 대응 현황과 법·제도·정책 등을 공유하는 한편 주요 활동 요약 보고 등을 발간할 계획이다. 이는 한국의 ‘디지털 권리장전’을 중심으로 OECD 회원국간 디지털 규범 논의를 한국이 적극 주도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1차 실무 회의는 6월 중 열린다.

과기정통부는 20일 디지털 사회 이니셔티브 공식 출범을 기념해 협력 의향서 서명식과 실·국장급 양자 면담을 진행한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이번에 출범하는 OECD 디지털 사회 이니셔티브는 국제 사회의 디지털 규범 논의를 OECD 차원에서 확산하고, OECD와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한국이 국제사회의 디지털 규범 논의를 계속해서 주도해나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오는 21일부터 이틀간 외교부와 함께 ‘AI 서울 정상회의’와 ‘AI 글로벌 포럼’을 연다. 한국과 영국이 공동 주최하는 AI 서울 정상회의는 화상회의 방식으로 주요국 정상과 국제기구 수장, 빅테크 기업 대표들이 참석하고,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는 AI 글로벌 포럼에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오픈AI, 구글 딥마인드 등 주요 임원들이 참석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