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공정성 시비 빌미'...문재호 고양시의원, 특정 지역 소각장 반대 '논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허일현 기자]
국제뉴스

(사진=독자 제공) 시청 앞에서 주민들의 1인 시위에 함께 동참해 반대를 표명하는 피켓을 들고 있는 문재호 (오른쪽)시의원. 문 시의원은 소각장 입지를 평가하고 결정하는 선정 위원이어서 공정성 우려를 낳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양=국제뉴스) 허일현 기자 = 경기 고양시 소각장 부지 선정을 두고 공정하게 평가해야할 선정위원이 특정지역을 공공연하게 반대하고 나서면서 말썽을 빚고 있다.

더구나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고루 살피고 형평성 있게 다뤄야할 시의원이 찬·반이 존재하는데도 섣부르게 특정의견에 나서는 편 가르기로 민민 갈등을 조장한다는 지적도 있다.

19일 소각장 찬·반 주민들과 시, 문재호 시의원 등에 따르면 시는 자원그린에너지파크 조성사업(소각장)을 추진하면서 입지선정위원회(이하 선정위)를 만들었다.

시는 당초부터 소각장이 주민기피시설로 해당지역 주민들의 반대가 불 보듯 빤한 상황이어서 예민한 사안인 만큼 공정성에 큰 무게를 두고 고심했다.

이에 선정위원은 공정한 심사를 위해 신청후보지 해당지역주민대표 각1명씩 6명을 비롯해 도의원 1명, 시의원2명, 공무원2명, 전문가6명 등 17명으로 구성했다.

이렇게 구성된 선정위원들은 최근 13곳의 신청후보지중 주민동의율 50%미만을 채우지 못한 8곳을 제외하고 5곳을 우선 선정했다.

이들 5곳은 행정적으로는 덕양구 고양동인 벽제1곳과 대자3곳 등 4곳과 일산동구 백석동과 맞닿아 있지만 행정적으로는 덕양구 능곡동인 내곡1곳이다.

시는 이 5곳 중 3곳을 이달 말까지 압축하고 내년3월 최종건립입지대상지를 결정할 방침이다.

시는 평가를 위해 일반조건 5개 항목 30점, 지역(사회적)조건 7개 항목 30점, 환경적조건 4개 항목 20점, 경제적조건 5개 항목 20점 등으로 21개 세부평가항목을 결정했다.

시가 2022년7월 소각장 입지신청을 공모한 이래 2년여 만에 종반 점을 향해 넘어가는 셈이다.

이런 와중에 평가를 맡은 선정위원으로 활동하는 문재호 시의원이 후보지선정에 반대하는 일부주민들과 합세하는 모습을 공공연하게 노출하면서 구설수에 휘말리고 있다.

주변에서는 선정위원으로서 문 시의원의 이런 행동은 당연히 부적절하지만 다른 위원들의 평가에도 영향을 주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이는 결국 선정위를 불신하는 결과로 이어져 주민들이 후보지 선정에 불복할 우려가 있는데다 그동안 공들여 이어져온 모든 절차가 수포로 돌아가 크게 지연될 소지도 있다는 지적이다.

지역의 한 주민은 "어느 곳이 선정되던지 찬반의견으로 시끄러울 수밖에 없는 예민한 문제인데 평가를 하는 사람이 반대를 표명하고 채점을 매긴다면 누가 공정하다고 할 수 있겠냐"며"당장 사퇴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재호 시의원은 국제뉴스와의 통화에서 "지역구 시의원으로서 반대하는 주민들의 1인 시위에 동참해주는 의미였다"며"고양관산지역에 소각장 설치는 반대하는 것이 저의 기본적인 입장"이라고 분명히 했다.

그러면서 "선정위원으로서 그 역할이나 공정성으로 생각하면 부적절하다는 지적도 일리가 있고 거기까지는 미처 생각을 못했다"고 해명했다.

<저작권자 Copyright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