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러다 우리 회사도 망할라"...위기의 건설사, 쇠퇴기 진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서울의 재건축 공사현장.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최근 들어 건설사들의 폐업과 부도는 늘어난 반면 신규 진입은 감소하면서 건설업이 쇠퇴기로 접어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8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 발간한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건설업 폐업 신고는 총 3562건(종합 581건·전문 2981건)으로 나타났다. 건설업 폐업 신고는 종합·전문 등 업종을 가리지 않고, 최근 10년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건설업 폐업 여파는 올해도 이어지고 있다. 올해 1·4분기 폐업 신고 역시 998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3% 증가했다.

반면 새로 진입하려는 업체는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건설업 신규 등록은 지난 2020년 대비 17.6% 감소했다. 최근 들어서는 종합건설 진입이 크게 줄어들고 있다. 올해 1·4분기 종합건설업 신규등록 건수는 143건으로 전년 동기(380건) 대비 62.4% 감소했다. 지난해 부도 건수는 총 21건(종합 9건, 전문 12건)으로 지난 2021년부터 증가 추세에 있다.

전문가들은 특히 지방의 건설 경기 하락이 더 심하고, 지방 업체의 경영여건이 악화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태준 연구위원은 “지난해 수도권 폐업신고 건수(1500건)는 지난 2020년(1148건)에 비해 30.7% 증가한 반면, 지방은 61.3%로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고 말했다. 이어 “실제로 올해 1·4분기 부도업체 9건 중 7건이 지방 업체”라고 강조했다.

건정연은 시장 이탈 업체 증가는 쇠퇴기의 전형적인 특징으로 대응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위원은 “쇠퇴기 진입이 너무 빠르게 진행되면 일자리의 급격한 감소와 구매능력 하락 등으로 사회문제로 확대될 수 있다”면서 “쇠퇴기로 진입한다고 해도 완만히 진행될 수 있도록 단기적으로는 건설경기 부양, 장기적으로는 산업전환을 대비하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west@fnnews.com 성석우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