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모두의 오월, 하나되는 오월'…5‧18 첫 희생자 이세종 열사 추모식 열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관영 도지사 "44년전 5월 18일 전북이 항거의 중심, 희생의 시작점"

뉴스1

제44주년 5·18 민중항쟁 전북기념식 및 이세종 열사 추모식이 열린 17일 전북자치도 전주시 전북대학교 이세종광장에서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가 헌화를 하고 있다. 2024.5.17/뉴스1 ⓒ News1 유경석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주=뉴스1) 임충식 장수인 기자 = '세월은 흘러가도 산천은 안다. 깨어나서 외치는 뜨거운 함성, 앞서서 나가니 산 자여 따르라.'

5‧18민주화운동 제44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전북대학교에서 5‧18 최초 희생자로 공식 인정받은 이세종 열사의 넋을 기리기 위한 추모식이 열렸다.

'모두의 오월, 하나 되는 오월'을 주제로 열린 이날 추모식은 이세종 열사가 5‧18 최초 희생자로 인정받은 뒤 처음 개최되는 추모식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를 더했다.

심영배 전북행사위원회 공동위원장은 "우리의 동지 이세종은 긴 세월 '추락사자의 오명'을 쓰고 역사의 뒤안길에 묻혔으나, 이제는 역사서에 '고귀한 희생'으로 쓸 수 있게 됐다"며 "이세종의 진실 확인은 5‧18이 광주에 그치는 국소적 관점이 아닌 전북을 비롯한 전국에서 일어난 거국적인 항쟁이었음을 증거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또한 우리 고장 전북도민이 한민족과 대한민국, 우리 사회가 위기에 처할 때마다 시대적 과제를 맨 앞에서 짊어지고 싸웠다는 것을 증명한다"며 "민주주의는 언제나 영원한 현재진행형인 만큼 더 좋은 민주주의, 성숙한 민주사회를 위해 다시 시작하자"고 강조했다.

뉴스1

제44주년 5·18 민중항쟁 전북기념식 및 이세종 열사 추모식이 열린 17일 전북자치도 전주시 전북대학교 이세종광장에서 참석자들이 헌화를 하고 있다. 이세종 열사는 5·18 민주화운동 당시 전북대학교에서 계엄군에 의해 사망한 5·18 최초의 희생자이다. 2024.5.17/뉴스1 ⓒ News1 유경석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추모식에는 양오봉 전북대 총장과 재학생들을 비롯해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 국주영은 전북자치도의회 의장, 서거석 전북자치도교육감, 우범기 전주시장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모두 고인의 거룩한 희생을 기렸다.

김관영 도지사는 "5월 18일은 대한민국을 완전하게 그 전과 그 이후로 바꾼 날이었고, 그날 전북은 항거의 중심이자 희생의 시작점에 있었다"며 "5‧18 민주화운동 진상규명위원회가 전북대 학생이던 이세종 열사가 첫 희생자임을 공식 인정한 것은 우리 전북자치도가 민주화 운동 한가운데에 자리했음을 44년 만에 인정받은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주화운동은 끝난 것도 아니고 끝나서도 안 된다"며 "남은 사람들은 묻힌 진실을 밝혀 역사를 다시 세워나가고, 또 공정과 정의가 살아있는 세상을 만드는 데 더욱 노력해야 한다. 전북이 앞장서겠다"고 덧붙였다.

이세종 열사는 농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이던 지난 1980년 5월 17일 전북대 학생회관에서 동료들과 '비상계엄 철폐 및 전두환 퇴진'을 요구하며 밤샘 농성을 벌이다가 교내에 진입한 비상계엄군에 쫓겨 옥상으로 올라갔다. 그리고 18일 새벽 6시께 학생회관 옆에서 온몸이 피투성이가 된 채 발견됐다.

경찰은 단순 추락사라고 발표했다. 하지만 당시 주검을 검안했던 이동근 교수는 추락 전 계엄군의 집단 폭행이 있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민규 순천향대 교수도 지난 2002년 학술세미나에서 "5·18 최초의 희생자는 이세종"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공식 첫 희생자로 인정받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5·18민주화운동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지난 3월 활동을 마무리하면서 이세종 열사가 최초 희생자임을 인정했다. 실제 5·18 당시 개별 사망자 166명을 사망일자순으로 나열한 보고서의 맨 위에 '이세종'이란 이름이 올랐다. 이에 이세종 열사는 숨진 지 44년 만에 최초 희생자임을 공식 인정받게 됐다.

soooin92@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