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5 (토)

'골프장 맥주' 띄우는 오비맥주..."미켈롭울트라, 골프장에서만 판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올해 골프장 이외의 채널에 판매할 계획은 없습니다."

7일 오전 서울 한강 예빛섬 야외무대에서 진행된 미켈롭 울트라 맥주 론칭 기자간담회에서 박상영 오비맥주 글로벌 마케팅 담당 상무는 이날 선보인 미켈롭 울트라 맥주에 대해 "전국 주요 골프장에서만 선보이는 제품"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오비맥주가 선보인 '미켈롭 울트라'는 2002년 미국에 출시된 가벼운 바디감과 상쾌한 맛이 특징인 저칼로리 프리미엄 맥주다. 헬스앤웰니스 트렌드에 맞춰 제로슈거, 저칼로리, 저탄수화물 등 특성을 앞세워 미국 시장에서도 스포츠 마케팅을 적극 전개하고 있다. 미국 현지에서는 라이트 맥주 시장에서 판매량 2위, 전체 맥주 10위권 내에 안착한 제품이다.

뉴스핌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오비맥주 박상영 마케팅 상무가 신제품 미켈롭 울트라 맥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024.05.17 romeok@newspim.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켈롭 울트라 제품 스펙은 330ml 기준 89kcal이다. 알코올 도수는 4.2도다. 특히 기존 맥주에서 강조하지 않았던 '저탄수화물' 특성을 강조해 주목된다. 미켈롭 울트라의 탄수화물 함량은 전체의 1% 미만인 1.9g이다. 관련해 무알코올 제품인 '카스 제로'의 경우 탄수화물 함량이 전체 7%인 24g(355ml 가준)이다. 기존 맥주 제품 대비 탄수화물 함량을 크게 줄인 셈이다.

'라이트 맥주'는 100ml당 열량이 30kal 미만인 맥주를 말한다. 국내에 판매되는 라이트맥주 브랜드는 오비맥주의 '테라 라이트'가 대표적이다. 카스라이트는 355ml 기준 95kal 제품이다. 여기에 이번에 미켈롭 울트라를 출시하며 라이트 맥주 카테고리를 확대했다.

하이트진로는 라이트 맥주 제품군으로 '에스 라이트' 제품을 보유하고 있다. 또 건강 트렌드에 맞춰 하이트진로도 올 여름 '카스 라이트'를 선보일 예정이었지만 최근 필라이트 후레쉬 등 주류 이슈가 불거지면서 출시 일정이 다소 연기된 것으로 알려진다.

오비맥주는 국내 시장에서 미켈롭 울트라를 '골프장 맥주'로 각인시킨다는 방침이다. 세계 최정상 골퍼 고진영 프로를 브랜드 앰버서더로 발탁하고 우선 전국 골프장에만 해당 제품을 선보인다. 골프 애호가들 사이에서 인지도가 확보되면 추후 다른 스포츠 종목으로 마케팅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날 론칭 기자간담회에서도 '골프장 맥주' 이미지를 강조하기 위한 행사가 진행됐다. 프로골퍼 최예지, 방송인 김희정, 모델 이상윤, 안무가 백구영, 아나운서 김우림 등 골프 인플루언서를 앰배서더로 초청해 원거리 홀인원에 도전하는 울트라샷 챌린지, 미니 퍼팅 게임 등 이벤트를 선보였다.

현재 미켈롭 울트라 제품을 취급하는 골프장은 전국 140여곳이다. 오비맥주는 올해 취급 골프장을 늘리는데 주력한다. 골프장 내 판매장에서 병당 8000원~1만원대에 판매되며 330ml 알루미늄병 패키지 외에 향후 캔, 병 등 다양한 패키지 출시도 검토 중이다. 마트, 편의점 등 일반 채널에 판매할 계획은 아직 없다.

박상영 상무는 "제로슈거·저칼로리를 표방한 라이트맥주는 국내에서 아주 생소한 카테고리"라며 "기존 카스 라이트도 있지만 보다 차별화된 프리미엄화를 위해 인기 스포츠인 골프를 테마로 브랜드를 알리려 한다"고 설명했다.

미켈롭 울트라의 '골프장 마케팅'이 성공할지에 대한 의구심도 나온다. 골프장 채널에 한정해 판매하는 만큼 매출상승폭이 그리 크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프리미엄 이미지를 위해 골프장에만 판매하는 전략을 사용한 것 같다"며 "결국 일반 채널로 확대해야 판매 효과가 있을 텐데 골프장에만 판매할 경우 인지도 확대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romeok@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