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생의 끝까지, 다음 생에도 나는 배우” 89살 이순재의 연기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7일 제60회 백상예술대상에서 ‘대중문화예술은 무엇인가’를 주제로 특별 연극 무대를 선보이는 이순재. 백상예술대상 유튜브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배우로서 연기는 생명력입니다. 예를 들어서 내가 몸살감기로 누웠다가도 ‘레디 고’ 하면 벌떡 일어나게 돼 있어요.”



지난 7일 제60회 백상예술대상 생방송 무대에 배우 이순재(89)가 올랐다. 그는 후배들 앞에서 ‘대중문화예술은 무엇인가’를 주제로 특별 연극을 선보였다. “1956년에 데뷔한 69년 차 배우”라고 자신을 소개한 이순재는 연극 오디션 참가자 역으로 심사위원 질문에 답하며 여전한 연기에 대한 열망, 도전정신을 밝혔다. “연차가 높은데 왜 아직까지 연기를 하냐”는 심사위원 역 배우의 질문에 이순재는 “배우로서 연기는 생명력이다. 그런데 연기가 쉽진 않다. 평생을 했는데도 모자라다. 그래서 늘 고민하고 노력한다”고 답했다.



한겨레

배우 최민식이 일어서서 이순재에게 존경을 표했다. 백상예술대상 유튜브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

배우 유연석을 비롯한 후배 배우들이 이순재의 연기가 끝나고 기립 박수를 치고 있다. 백상예술대상 유튜브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후배들에 대한 칭찬이 이어졌다. “같이 연기하고 싶은 배우가 있냐”는 질문을 받고 이순재는 객석에 앉아있는 배우 최민식을 향해 “(영화) ‘파묘’ 내가 잘 봤다. 정말 열연을 했더라”며 “언제 그런 작품(을) 같이 한번 해보자. 내가 산신령 혹은 귀신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배우 이병헌에겐 “한국판 대부를 같이 찍어보자. 내가 말론 브란도를, 이병헌 배우가 알 파치노 역할을 하면 잘 어울리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순재는 자신이 주연을 맡았던 연극 ‘리어왕' 대사를 읊으며 특별 무대를 마무리했고 이를 지켜보던 후배 배우들은 눈시울을 붉혔고 그에게 기립박수를 보냈다.



한겨레

후배 배우들이 이순재의 연기가 끝나고 기립 박수를 치고 있다. 백상예술대상 유튜브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순재는 왜 이날 특별 무대를 선보였던 걸까. 그는 17일 오전 시비에스(CBS) 라디오 프로그램 ‘김현정의 뉴스쇼’에 나와 “과거 백상에서 연극 부문 연기상과 영화 부문 연기상을 수상한 인연도 있고, 올해로 (백상예술대상이) 60주년이기도 해서 백상이 더 발전돼서 후배들에게 좋은 상을 만들어줬으면 하는 마음에 참여하게 됐다”고 밝혔다.



한겨레

17일 오전 시비에스(CBS) 라디오 프로그램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한 배우 이순재. 유튜브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89살의 대배우는 “우리 작업은 항상 새로운 것의 창조, 도전”이라며 “저 같은 경우 과거 김수현 작가의 드라마 ‘사랑이 뭐길래’(1991~1992)에서 맡은 ‘대발이’ (아버지) 역이 대히트를 했지만 그게 인기가 있었다고 해서 다시 재연할 수가 없고 재연해서도 안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항상 우리(배우)는 새로운 역할에 대한 창조, 말하자면 우리가 도전할 수 있는 하나의 욕구와 그를 통해 성취에서 오는 쾌감, 이런 것들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순재는 이날도 후배 배우들에 대한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그는 “드라마를 같이 하다가 제대로, 열심히 하는 배우를 보면 나는 ‘이거 봐, 자네 평생 하는 거야’라고 한다. 평생 (연기를) 할 수 있는 바탕과 자세가 되어 있다는 이야기”라며 “집합하는 시간부터 연습 과정 또는 본격적으로 작업에 들어가는 과정까지 (이러한 과정들의 진행에 배우가) 지장을 줘서는 안 된다. 그런데 슛 들어가기 직전에 스탠바이를 얼마나 잘하나 보면 ‘베토벤 바이러스’(2008) 때의 김명민 군이 잘하더라”고 말했다.



연기를 언제까지 할 것이냐는 질문에 이순재는 “누가 얼마나 시켜줄지 모르겠는데 기회만 되면 끝까지 해볼 생각”이라고 밝혔다.



“(처음에 내가 배우를 하고자 했을 때) 당시 배우는 가정의 90%가 반대하는 직종이었다. ‘딴따라’라는 인식이 강했기 때문”이라던 그는 ‘다시 태어나도 연기를 할 것이냐’는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요즘 이 좋은 시절에 왜 안 합니까?”



정봉비 기자 bee@hani.co.kr



▶▶한겨레 서포터즈 벗 3주년 굿즈이벤트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기획] 누구나 한번은 1인가구가 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