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현상금 67억"…미국 대기업 위장 취업한 북한 노동자 수배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국 국무부 외교안보서비스국(DSS)은 16일(현지시각) '정의를 위한 보상(RFJ)' 프로그램을 통해 북한을 지원하는 특정 활동에 관여하는 이들의 금융 메커니즘을 방해할 수 있는 정보에 500만달러(약 67억원)의 현상금을 건다고 발표했다. /사진= 정의를 위한 보상 X(옛 트위터)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정부가 현상금 500만달러(약 67억원)를 내걸고 미국 기업에 위장 취업해 최소 680만달러(약 92억원)를 벌어들인 북한 IT 노동자들을 현상수배 중이다. 이들의 위장 취업을 도운 3명의 외국 국적인은 미국 검찰에 체포된 상태다.

16일(이하 각 현지시간) 미국 국무부는 이날 테러 정보 신고 포상 프로그램인 '정의에 대한 보상'(Reward for Justice)을 통해 미국 IT 기업에 위장 취업한 혐의를 받는 북한 노동자들을 추적 중이라고 밝혔다.

추적 대상자는 한지호(Han Jiho), 진천지(Jin Chunji), 쉬하오란(Haoran Xu)이라는 가명의 북한 IT 노동자들이며 이들을 관리해 온 '중화'(Zhonghua)라는 이름의 매니저도 수배 대상에 포함된다.

북한 노동자 3명은 2020년 10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약 3년간 60명 이상의 미국인 신분을 가짜로 사용해 한 미국 회사에서 소프트웨어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로 근무했다. 이들은 대부분 원격으로 근무에 참여해 지금까지 약 680만달러(약 92억원)의 수익을 냈다.

미국 국무부에 따르면 이들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개발, 무기 생산, 연구개발 프로그램을 총괄하는 북한 군수공업부와 연계돼있으며 2곳의 미국 정부 기관에도 취업하려 했지만 실패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들은 이 과정에서 미국 국적의 크리스티나 마리 채프먼이라는 사람의 도움을 받았다. 채프먼은 북한 노동자들이 미국에서 유효한 신원을 취득할 수 있도록 도왔으며 이들이 실제 미국에서 근무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미국 기업으로부터 노트북을 받아 매일 이 기업의 네트워크에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채프먼은 미국 기업이 북한 노동자들에게 지급한 급여를 받아 분배하는 등 범죄 수익금을 세탁하는 일도 했다.

채프먼을 포함해 북한 노동자를 도운 혐의를 받는 3명은 현재 미국 당국에 체포된 상태다. 지난 주 폴란드에서 체포된 우크라이나 국적의 올렉산드르 디덴코, 16일 메릴랜드주에서 체포된 베트남 국적의 민 후옹 봉 등이다. 미국 법무부는 이날 북한 정권의 미국 기업과 기관에서 훔치거나 불법 취득한 ID를 북한 IT 노동자들에게 제공하는 등 해킹사업을 방조한 혐의로 3명을 체포했다고 밝혔다.

미국 법무부는 이들이 미국의 주요 기업들로부터 원격 재택근무를 한다는 이유로 근무자용 노트북 등을 제공받아 북한 해커들에게 범죄 기회를 마련해줬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범죄는 북한 당국이 해외에 파견해 미국인들 ID를 가지고 일하고 있는 수천 명의 북한 IT 노동자들을 총동원한 대규모 범죄라고 규정했다.

마샬 밀러 미국 법무부 부장관은 기자회견에서 "미국의 IT 기술자 부족과 최근 성행하는 원격 재택근무 등 새로운 노동환경의 종합적인 요인들을 악용해 이런 범죄를 벌이고 있는 것이 최근의 실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 법무부는 이번에 체포한 북한 IT 범죄 가담 개인들을 기소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다른 국가의 정부나 민간 기업들에 대해서도 IT 관련 직원들을 채용할 때는 극도로 주의하도록 경고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이지현 기자 jihyunn@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