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9 (수)

이슈 미국 46대 대통령 바이든

바이든-트럼프 TV토론 내달 조기 성사···美 대선 레이스 다시 후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9~10월 관례 깨고 6월 27일 시작

바이든이 제안, 트럼프 전격 수용

고령·사법 리스크 '약점' 공격

동맹·방위비 분담·낙태권 등

쟁점 놓고 격렬한 공방 예고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1월 미국 대선에서 다시 맞붙는 조 바이든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다음 달에 첫 TV 토론에 나선다. 양당의 대선 후보가 조기 확정되면서 다소 느슨해진 미국의 대선 레이스에 다시 불이 붙을 것으로 관측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15일(현지 시간) X(옛 트위터)에 글을 올려 “저는 CNN방송으로부터 6월 27일 토론 초청을 받았고 (이를) 수락했다”면서 “다음은 트럼프 당신 차례다. 당신이 말했듯이 언제, 어디서든, 어떤 장소든”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전 대통령도 제안을 받아들이며 두 후보 간 조기 토론이 전격 성사됐다. 두 번째 TV 토론은 ABC방송 주관으로 9월 10일 예정돼 있다. 이번 토론은 양당이 전당대회에서 후보를 최종 지명하기 전에 이뤄진다는 점에서 이례적이다. 1960년 존 F 케네디와 리처드 닉슨 당시 대선 후보가 맞붙었을 때부터 2020년 대선까지 미국 대선 후보들은 9~10월에 첫 토론을 했다. 준비위원회는 올해도 9월 16일과 10월 1·9일 등 세 차례 TV 토론 일정을 잡았지만 대선 후보들이 직접 조기 TV 토론에 합의한 셈이다.

공화당 경선에서 후보 간 TV 토론에는 불참했던 트럼프 전 대통령이 TV 토론을 주장하고 나선 것은 바이든 대통령의 고령 문제를 부각하는 한편 자신을 둘러싼 사법 리스크를 불식하려는 노림수로 풀이된다. 반면 그동안 TV 토론에 소극적이었던 바이든 대통령은 성추문 입막음 재판 직후인 6월 하순의 TV 토론으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사법 리스크를 몰아붙이겠다는 전략으로 분석된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본격적인 대선 레이스에 돌입하는 만큼 양측은 각종 쟁점을 놓고 격렬한 공방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한국과 일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등 동맹과의 관계 설정과 방위비 분담 문제 등에서 두 사람이 어떤 언급을 할지 주목된다. 미 NBC방송은 러시아 침공에 따른 우크라이나 전쟁, 나토를 비롯한 동맹과의 관계에서 두 사람의 견해차가 확연하다고 설명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확고한 우크라이나 지원 방침을 견지하며 그동안 우크라이나에 수백억 달러의 재정 및 무기 지원을 해왔다. 반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24시간 이내에 우크라이나 전쟁을 중단하겠다고 말했지만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다. 그는 올해 초 우크라이나에 대한 추가 지원을 무상 원조가 아닌 ‘차관’ 형태로 하자고 주장하기도 했다. ‘안보 무임승차론’을 주장해온 트럼프 전 대통령은 나토 국가들의 방위비가 충분하지 않다며 나토 탈퇴 방안을 언급하기도 했다.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안보 관점에서 바라보는 바이든 대통령은 중국의 힘을 억제하기 위해 동맹 강화 및 확장 정책을 써왔으며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에 대해서도 강경한 입장을 취해왔다. 반면 경제적 관점에서 중국을 대하는 트럼프 전 대통령은 관세를 통한 대중 억제에 방점을 찍고 있다. 그는 중국산 제품에 최소 6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며 중국이 미국의 주요 인프라를 소유하는 것을 금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여성 유권자의 표심이 걸린 낙태권 문제 역시 첨예한 대립이 예상되는 이슈다.

미 주요 언론들은 양측이 이번 토론을 준비하기 위해 최근 몇 주간 비공개 논의를 이어왔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7~8월 양당의 전당대회 이전까지 소강 상태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던 미국의 대선 레이스가 후끈 달아오를 것으로 관측된다. 공화당은 7월 위스콘신주 밀워키에서, 민주당은 8월 시카고에서 전당대회를 개최한다.

워싱턴=윤홍우 특파원 seoulbird@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