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5 (토)

이슈 제 22대 총선

총선 0석 이어 ‘지도부 구인난’··· 위기의 정의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당대표 임기는 5월 말까지···재공고 논의

창당 12년 만이자 민노당 이후 20년 만에

현역 의원 1명도 없는 원외 정당으로 전락

‘송곳검증’으로 ‘데스노트’ 이름 날렸지만

‘민주당 2중대’ 행보 속 여론 비판 쏟아져

4·10 총선에서 단 한 석도 얻지 못해 창당 12년 만에 원외 정당으로 밀려나게 된 정의당이 ‘지도부 구인난’까지 겪고 있다. 설상가상 선거 패배를 거듭하며 쌓인 빚이 수십억원대로 알려졌다.

14일 정치권에 따르면 정의당은 지난 10∼11일 8기 당대표·부대표 선거 후보 등록을 받았으나, 이 기간 아무도 등록을 하지 않았다. 당은 16일 전국위원회를 열어 선거 재공고 일정을 논의할 예정이다. 김준우 대표의 임기는 이달 말까지다.

세계일보

정의당 김준우 대표가 지난 13일 국회 앞 농성장에서 열린 상무위원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의당은 이번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한 비례대표 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에 참여하는 대신 원외 정당인 녹색당과 연합해 ‘녹색정의당’이라는 이름으로 국민의 선택을 받고자 했으나 지역구 후보 17명, 비례대표 후보 14명 전원이 낙선했다. 이로써 당의 뿌리 격인 민주노동당 시절부터 따지면 20년 만에 원외 정당으로 돌아가게 됐다.

심상정 의원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구 출마 후보들은 선거 비용을 보전받기 위한 최소 기준인 득표율 10%를 넘기지 못했다. 2022년 지방선거와 지난해 10월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 후보를 냈으나 연달아 패배하면서 당의 채무는 약 32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의당은 문재인정부 시절 날카로운 공직후보자 검증을 이어가며 제3정당으로서 존재감을 드러냈다. 부적격으로 판단되는 후보자들을 낙마시켜 ‘정의당의 데스노트’라는 용어가 정치권에 회자되기도 했다.

그러나 2019년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현 조국혁신당 대표)를 데스노트에서 제외하고, 정의당에 유리한 공직선거법 개정을 하는 대신 민주당의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 추진에 협조한 행보 등으로 여론의 지탄을 받았다. 성비위 논란 속 숨진 박원순 전 서울시장 빈소 조문 여부를 두고 내부 갈등을 겪은 점이 도마에 오르기도 했다.

정의당은 이후 노동자·민중을 대변한다는 기존 가치에 성 소수자 권익 보호, 녹색당과의 연대를 통한 ‘기후정치’를 내세우는 등 다양한 시도를 통해 ‘민주당 2중대’라는 오명을 벗고 당의 저변을 넓히고자 노력했지만, 한편으로는 당 정체성이 흐려졌다는 비판을 피하지 못했다.

배민영 기자 goodpoint@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