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9 (일)

日총무상 라인 사태에 "지배적 자본관계 탈피" 재차 압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마쓰모토 총무상 14일 기자회견…"행정지도, 개인정보 보호 목적"

뉴스1

일본 도쿄 총리관저에서 마쓰모토 다케아키 총무상이 기자들의 질문을 받는 모습<자료사진>. 2023.12.14/ ⓒ 로이터=뉴스1 ⓒ News1 권진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성식 권진영 기자 = 일본 총무상이 네이버가 개발한 메신저앱 '라인'의 합작 운영사인 라인야후를 상대로 행정지도를 한 것과 관련해 "지배적 자본 관계를 탈피해야 한다"고 재차 압박했다.

일본 TBS·아사히 방송 등에 따르면 마쓰모토 다케아키(松本剛明) 총무상은 14일 각의(국무회의) 이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행정 지도의 내용에 대해 확실히 이해해 줬으면 좋겠다. 지도 목적은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려는 데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라인은 일본 국민 10명 중 8명이 사용하는 '국민 메신저'로 네이버의 일본 자회사 'NHN재팬'이 개발해 2011년부터 서비스 중이다. 2019년에는 일본 소프트뱅크의 검색엔진 업체 야후재팬과 손을 잡고 라인 지주사인 A홀딩스를 설립했다. 현재 A홀딩스 지분은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50 대 50의 비율로 나눠 갖고 있다.

총무성은 지난해 11월 네이버 클라우드(가상서버)를 통해 일본인 개인정보 51만건이 유출되자 지난 3월부터 라인야후를 상대로 두차례에 걸쳐 행정지도를 실시하며 재발 방지 대책과 함께 지분 관계 재검토를 주문했다. 행정지도는 법적 구속력이 없지만, 개인정보 유출을 빌미로 일본 정부가 네이버의 지분 매각을 압박해 경영권을 강탈하려 한다는 우려가 속출하고 있다.

한국 내 반발 여론을 의식한 듯 마쓰모토 총무상은 지난 10일 기자회견에서 "모회사 등을 포함한 그룹 전체 보안 관리의 본질적인 재검토에 속도를 내 달라고 요구한 것이지, 경영권 관점에서 자본 관계 재검토를 요구한 것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도 마쓰모토 총무상은 두 차례 발언에서 구체적으로 양사의 자본 관계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해결책은 무엇인지 설명하지 않았다.

seongski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