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8 (토)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라인 매각 말라는 정부…네이버, 글로벌 사업 재편 고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각 유력 검토했지만 암초

지분 전부 넘기기 쉽지 않아

해외 사업도 라인야후가 장악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네이버의 라인야후 지분 매각 방침이 흔들리고 있다. 우리 정부와 정치권에서 사실상 매각에 제동을 걸면서 지분 매각 자체를 다시 검토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당초 매각까지 열어두고 유리하게 파는 방향을 고심해왔던 네이버는 난감한 입장이 됐다.

정부 사실상 매각 반대

14일 정부 고위 관계자는 아시아경제와의 통화에서 "(네이버가 라인야후 지분을 판다면) 정부가 관여하거나 도와줄 수 있는 부분은 없고, 팔지 않기로 하면 지원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가 매각에 나서지 않을 것을 전제로 지원을 약속한 것은 사실상 매각을 반대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가 라인 매각에 제동을 걸면서 네이버가 전격 매각을 결정하기에 부담스러운 상황이 됐다는 평가다. 전날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브리핑에서 "네이버의 추가 입장이 있다면 정부 차원에서 모든 지원을 다 할 것"이라며 지분 매각을 제외한 결정을 촉구했다.
아시아경제

대통령실까지 나서면서 네이버는 지분을 팔라는 일본 정부와 이에 반대하는 한국 정부 사이에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 됐다. 당초 해외 사업 재편이라는 큰 틀에서 지분 매각안을 유력하게 검토했지만 다시 원점으로 돌아온 것이다. 네이버 의도와 상관없이 매각 이슈가 흘러가면서 정부와의 소통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네이버 노조도 매각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노조는 전날 성명을 통해 "라인 계열 구성원과 이들이 축적한 기술과 노하우에 대한 보호가 최우선"이라며 "이들을 보호하는 최선의 선택은 지분 매각을 하지 않는 것"이라고 밝혔다. 상장사인 만큼 주주들도 고려해야 한다. 카카오뱅크 공동대표 출신인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네이버가 이 문제에 소극적으로 대응한다면 주주가치 저하에 할 수 있는 조치를 하지 않은 것"이라며 "배임 등으로 주주소송에 직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원점에서 보면 네이버는 지분 매각 대신 애초 문제가 됐던 개인정보 유출 문제 등 정보 보호 강화 조치에 집중하는 선택지가 있다. 호사카 유지 세종대 교양학부 교수는 "정보 유출 문제가 생긴 곳은 네이버 본사가 아닌 자회사 네이버클라우드이기 때문에 네이버클라우드재팬만 일본이 가져가면 지분 매각 없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글로벌 사업 재편 ‘산 넘어 산’

하지만 네이버가 여전히 매각을 고수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네이버는 전날 대통령실과 정부의 발표에 대해 "중장기적으로 기업 가치를 높이는 것을 최우선에 두고 중요한 결정을 할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지난주 내놨던 공식입장과 전혀 달라지지 않았다. 이 때문에 정부와의 소통 대신 지분 매각전략 마련에 몰두한다는 해석이 설득력을 얻는다.

매각할 경우 1주만 넘겨주는 것에서 끝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와 소프트뱅크는 라인야후 대주주인 A홀딩스 지분을 절반씩 보유하고 있어 단 1%만 넘겨줘도 과반이 된다. 이에 대해 미야카와 준이치 소프트뱅크 최고경영자(CEO)는 "1%에서 100%까지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며 "100%로 확대한다면 여러 전략을 생각할 수 있지만 51 대 49 정도라면 거의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지분 전부를 넘기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경영권 프리미엄을 포함하면 라인 몸값은 10조원 이상이 거론된다. 현재 소프트뱅크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17조원 규모라 라인야후를 전부 인수하는 것은 재무적 부담이 될 수 있다. 미야카와 CEO 역시 "들어갈 수 있는 사이즈가 있다"며 "투자에 걸맞은지 (다른) 사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분 대부분을 확보하기 위해 무리를 하거나 협상력에서 밀리지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동남아 사업 지킬까

지분 일부를 매각할 경우 네이버 입장에서 일본 사업은 떼어주되 그 외 글로벌 사업을 갖는 방안이 최선일 수 있다. 그러나 이 역시 쉽지 않다. 일본 외 해외 사업도 라인야후가 장악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라인야후가 중간지주사인 Z인터미디어트글로벌 지분 100%를 갖고, Z인터미디어트글로벌이 라인의 해외 사업을 총괄하는 라인플러스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라인플러스는 인도네시아, 베트남, 대만 등에서 온라인, 모바일 서비스하는 기업들을 종속회사로 두고 있다. 뿐만 아니라 네이버와 라인야후는 웹툰 사업을 총괄하는 미국법인 웹툰엔터테인먼트 지분까지 나눠 갖고 있어 자본 관계가 꼬이면 글로벌 사업 전체가 흔들릴 수 있다.

해외 사업을 분리하더라도 대부분의 서비스가 라인 브랜드로 성공을 거둔 만큼 상표권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사업 분리와 별개로 지분을 일부 넘겨주는 대가로 기술 라이선스 비용을 받을 수도 있지만 소프트뱅크에서 기술 독립을 추진하겠다고 밝혀 길게 가긴 어려울 전망이다.

황용식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이번 사태에 대해 네이버 목소리가 크지 않은 것은 경영권 프리미엄을 받고 동남아 등 해외 사업을 챙기는 등 실익을 찾고자 하는 전략으로 볼 수 있다"며 "손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결국 중요한 것은 네이버의 엑시트 플랜과 협상력"이라고 강조했다.

최유리 기자 yrchoi@asiae.co.kr
이정윤 기자 leejuyo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