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8 (토)

조태열, 中 왕이 '방한' 요청...탈북민 강제북송에 '우려' 제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중 외교장관회담..."상호 편리한 시기 방한"
북한·러시아 군사협력에...中 "건설적 역할 할 것"


더팩트

조태열 외교부 장관(왼쪽)은 13일 한중 외교장관회담에서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에게 방한을 요청하는 한편, 탈북민 강제북송에 우려를 표했다. /외교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팩트ㅣ김정수 기자]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13일 한중 외교장관회담에서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에게 방한을 요청하며 고위급 인사 간 교류 활성화를 제안하는 한편, 탈북민 강제북송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조 장관은 이날 중국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왕이 부장과 만나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지속 발전시켜 나가자며 이같이 말하고 경제협력 등 한중 관계 전반, 북핵·북한 문제, 지역·국제 정세 등을 논의했다.

조 장관은 회담에서 "한중 관계 발전을 위해서는 어느 한쪽이 아닌 양국이 함께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난관이 있더라도 세심하게 관리하는 가운데 협력의 모멘텀을 이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장관은 이를 위해 고위급을 포함한 다양한 수준의 전략적 교류·소통의 강화가 중요하다며 왕이 부장의 방한을 초청했다. 이에 왕이 부장은 "조 장관의 방중을 계기로 양국 고위급 교류가 더욱 활성화되기를 바란다"며 상호 편리한 시기 방한하겠다고 답했다.

더팩트

조 장관은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중국의 역할과 탈북민 강제북송에 대한 우려를 전달했다. 이에 왕이 부장은 중국의 한반도 정책에 변함은 없다며 건설적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외교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 장관은 또 왕이 부장에게 한반도 평화와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중국의 역할과 탈북민 강제북송에 대한 국내외 우려를 전달했다.

조 장관은 "북한이 통일을 부정하고 남북을 적대적 관계로 규정지으며 위협적 언사와 각종 도발을 통해 한반도를 비롯한 역내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며 "한편 러시아와의 불법적인 군사협력을 지속하고 있는 데 우려한다"고 했다.

이어 "탈북민들이 강제 북송되지 않고 희망하는 곳으로 갈 수 있도록 중국 측의 각별한 관심과 협조를 요청한다"고 강조했고, 왕이 부장은 "중국의 대(對)한반도 정책에 변함이 없다"며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해 중국이 건설적 역할을 하겠다고 했다.

양국은 공급망의 안정적 관리 등 경제협력에 있어서도 긴밀한 소통을 이어가기로 했다. 조 장관은 이와 관련해 우리 기업의 안정적 투자를 위한 우호적인 투자 환경 보장과 우리 기업 애로사항 해소에 중국 측의 각별한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더팩트

한국 외교부 장관이 양자 회담을 위해 베이징을 방문한 것은 6년 반 만이다. 외교부는 "양 장관은 조만간 한국에서 개최될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지속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외교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양측은 또 국민 간 상호인식 개선과 우호정서 증진의 필요성에 공감하며 △지방정부 간 교류 활성화 △인문교류 촉진위 등 외교부 주도 각종 교류·협력 사업 재개 등에 뜻을 같이했다.

외교부는 "양 장관은 조만간 한국에서 개최될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지속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며 "아울러 양 장관은 우크라이나 및 중동 정세, 미중 관계 등 지역 및 국제정세에 대해서도 협의했다"고 밝혔다.

조 장관과 왕이 부장은 이날 회담과 만찬을 포함해 약 4시간 회동했다. 한국 외교부 장관이 양자 회담을 위해 베이징을 방문한 것은 지난 2017년 11월 강경화 당시 외교부 장관 이후 6년 반 만이다. 2022년 8월에는 박진 전 장관이 중국 산둥성 칭다오에서 왕이 부장과 만나 회담한 바 있다.

js8814@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