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합성니코틴 전자담배’는 담배가 아니라고? 액상담배, 과세 논의될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합성니코틴 ‘규제 사각지대’···법규상 담배 아냐
니코틴 용액 수입량 2배 ‘쑥’···과세 논의 불붙나


매경이코노미

서울 마포구의 한 무인 전자담배 판매점에 설치된 자동판매기에 합성니코틴 액상형 전자담배가 진열돼있다.(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합성 니코틴 규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유해성 연구 용역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를 통해 액상 담배 가격이 인상될지에 관심이 쏠린다. 담배사업법 규제 대상에 합성 니코틴을 포함할 경우 지금까지 세금이 부과되지 않았던 ‘합성 니코틴’ 액상형 담배에도 개별소비세 등 담뱃세와 부담금이 부과되기 때문이다.

13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보건당국은 5월 중으로 합성 니코틴의 유해성을 판단하는 연구 용역을 발주한다. 이번 연구 용역은 합성 니코틴의 규제 여부를 심의 중인 국회의 요청에 따른 것이다. 국회는 현재 합성 니코틴을 관련법상 ‘담배’에 포함해 규제하는 내용의 담배사업법 개정안을 심의 중이다.

이번 연구 용역은 합성 니코틴을 유해성 검증 전까지 법적인 ‘담배’로 인정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과 ‘담배’에 포함해 규제해야 한다는 입장이 팽팽히 맞서자 국회가 정부에 주문한 것으로 전해졌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연구 용역을 최대한 연내 마무리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합성 니코틴 규제 논의에 속도를 내는 것은 더 이상 ‘규제 사각지대’를 방치할 수 없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상황과 무관치 않다. 현재 화학물질로 만든 합성 니코틴 담배는 법에 따라 규제받는 ‘담배’가 아니다. 담배사업법이 연초의 잎을 원료로 포함한 것만을 ‘담배’로 정의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중에 유통 중인 액상형 담배에는 천연 니코틴 제품도 있지만 대부분이 합성 니코틴을 사용한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이들은 담배사업법상 담배가 아니기 때문에 일반 담배는 불가능한 온라인 판매와 판촉이 가능하고,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경고 문구와 그림을 제품에 붙이지 않아도 된다.

법이 정한 담배 세금이나 부담금도 물지 않아, 일반 담배와 비교해 소비자는 합성 니코틴 담배를 더 싼 가격에 살 수 있고 판매자는 더 많은 이윤을 남길 수 있다.

글로벌 담배 회사인 브리티시아메리칸타바코(BAT)가 최근 한국에서만 유일하게 합성 니코틴 전자담배 출시 계획을 밝히며 논란은 더욱 커졌다. BAT 측이 “세금·부담금 절약분을 소비자 혜택으로 제공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며 한국의 ‘규제 사각지대’를 노린 전략이 아니냐는 비판이 뒤따랐다.

현재 합성 니코틴 담배 시장은 빠르게 성장 중이다. 관세청이 김영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전자담배용 합성 니코틴 용액 수입량은 지난 2020년 56t에서 2022년 119t으로 2년 만에 2배 넘게 늘었다. 지난 2023년 상반기 수입액만 91t에 달하는 등 증가세가 가파르다.

합성 니코틴을 담배사업법상 ‘담배’에 포함해 규제하게 되면 현행법상 합성 니코틴을 사용하는 액상형 담배는 자동으로 담뱃세와 부담금이 부과된다. 담배사업법상 모든 담배는 개별소비세와 담배소비세 과세 대상이기 때문이다. 국민건강증진부담금 등 부담금도 붙는다.

최근 커지는 합성 니코틴 규제 목소리가 결국 액상형 담배 과세 확대로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정부도 합성 니코틴의 과세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용역 과제에 합성 니코틴과 천연 니코틴의 유해성 비교를 포함한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담배사업법상 궐련·전자담배 등 다양한 담배의 세금 부담은 통상적으로 ‘유해성’을 기준으로 정해진다. 따라서 합성 니코틴의 세율과 과세 단위 등을 정하기 위해서는 합성 니코틴에 관한 공신력 있는 유해성 평가가 필요하다.

업계에서는 합성 니코틴이 일반 담배보다 덜 유해하다며 과세하더라도 세금을 낮춰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도 필요한 상황이다. 과세가 시작되면 액상형 담배 가격 인상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고물가와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하는 상황에서 담뱃세 등 소비세 확대 논의는 소비자 부담을 늘리는 증세 논란으로 번질 수 있어 민생 회복에 중심을 두고 있는 정부로서는 부담스러운 대목이다.

규제 사각지대 논란에도 기획재정부가 합성 니코틴의 법적 ‘담배’ 인정 여부에 대해 뚜렷한 태도를 취하지 못하는 것이 이런 상황과 관련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합성 니코틴 규제 여부에 대한 기재부의 신중한 입장은 규제 필요성을 강조하는 보건당국과 차이가 있다. 보건당국은 합성 니코틴도 법적인 ‘담배’에 포함해 규제해야 한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강조하고 있다. 현실적으로 당장 전면 판매금지가 어려운 만큼 합성 니코틴도 담배사업법상 ‘담배’에 포함해 적극적으로 규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기재부 관계자는 “합성 니코틴의 담배사업법 규제 여부는 과세 이슈가 있어 당장 답하기 어려운 문제”라며 “용역 결과를 토대로 관계부처 입장을 조율할 것”이라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