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미중 무역' 갈등과 협상

"중국산 전기차에 100% 관세"...한국 車 영향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조수빈 기자 = 미국 정부가 올 11월 대선을 앞두고 중국 전기차에 부과하는 관세를 25%에서 100%로 올리기로 결정했다. 중국 완성차 업체의 미국 시장 진출이 어려워짐에 따라 현대자동차·기아 등 한국 자동차 기업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린다.

뉴스핌

현대차 미국 앨라바마 공장 전경 [사진=현대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 10일 외신 보도에 따르면 바이든 행정부는 이르면 14일 이 같은 관세 인상 방침을 발표할 예정이다. 로이터통신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절 중국산 제품에 부과한 대부분의 고율 관세는 유지될 것"이라며 추가적인 관세 인상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최종 발표는 14일보다 늦어질 수 있지만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국 압박이 수위를 낮출 가능성은 적다는 것이 공통된 시각이다.

◆BYD 1000만원 전기차에 놀란 미국…시장 진입 차단

이번 조치는 미국 시장 내 중국 완성차 업체의 저가 공세를 막기 위한 보호주의 성격이 강하다. 중국 완성창 업체들은 정부 보조금에 힘입어 제품을 자국 수요보다 많이 생산한 후 상당한 저가의 제품을 수출하는 방식으로 시장 점유율을 넓혀왔다.

현재 중국 비야디(BYD)의 전기차 '시걸'은 1000만원 대로 보조금을 받는 미국 전기차보다 현저히 저렴하다. 지난해 1월부터 10월까지 BYD는 승용 전기차 기준으로 237만대를 판매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세계 전기차 판매량의 41%, 절반 가까이를 판매한 BYD는 테슬라를 넘어 글로벌 판매 1위 기업으로 도약했다.

중국 전기차 기업의 가파른 성장 대비 미국 전기차 기업은 성장이 주춤하고 있다. 포드 자동차는 전기차 분야 손실이 늘자 자본지출을 120억 달러 감축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제너럴모터스(GM)도 전기차 생산 목표를 줄였고 테슬라는 인력의 10%를 감원하고 최근 전기차 전용 충전 시스템인 슈퍼차저 팀을 해체했다. 미국은 중국 전기차 기업의 시장 진입을 차단함으로써 자국 기업과 산업을 보호하는 방안을 선택한 것이다.

뉴스핌

지난 8일(현지시간) 미국 위스콘신주의 한 대학에서 연설하는 조 바이든 대통령의 모습. [사진=로이터 뉴스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래 불안요소 제거 측면에선 호재…공급망은 '예의주시'

중국 기업에 대한 관세 압박이 지속될 경우 미국 시장에 진출해 있는 현대차나 기아의 경우 간접적으로 반사이익을 볼 수 있다. 중국 BYD는 현재 미국에서 승용 전기차를 판매하고 있지 않아 이번 관세 인상 조치가 현대차그룹의 판매 실적에 당장 영향을 미치진 않을 전망이다.

다만 중국의 미국 시장 진출을 원천 차단함으로써 미래의 불안요소는 제거할 수 있다. 이항구 자동차융합기술원장은 "자동차 중에서도 전기차는 가격의 수요탄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값싼 중국 전기차는 소비자의 수요를 움직일 수 있는 위험한 요소"라며 "중국이 본격적으로 시장에 뛰어들었을 때 수요 흐름이 바뀌는 것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현대차나 기아가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동시에 미국은 멕시코 등 우회 수출에 대한 사전 봉쇄에 대한 부분도 언급하고 있어 현대차그룹엔 불안 요인이 축소되는 호재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미국이 중국산 철강과 알루미늄 등에 대한 관세 3배 인상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부품에 들어가는 원재료와 공급망에 대한 압박도 우려된다. 중국산 완성차 제재가 부품으로까지 이어질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하지만 중국은 세계 자동차 부품의 80%를 생산하고 있는 국가다. 이에 전문가들은 중국산 자동차 부품 제재는 결국 미국 기업의 피해를 낳을 수 있다는 점에서 실현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 있다.

앞서 지난 8일에도 유럽의 완성차 업체들은 유럽연합(EU)가 중국산 전기차를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는 반(反)보조금 조사에 대해 "제 무덤 파기"라고 지적한 바 있다. 올리버 집세 BMW 최고경영자(CEO)는 "BMW 등 자동차 제조사들은 최종 제품뿐 아니라 부품과 원자재 측면에서도 (중국과) 양자 의존 관계를 갖고 있다"며 "EU에서 중국산 부품이 없는 자동차는 단 한 대도 없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호근 대덕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중국산 부품의 시장 점유율이 나날이 커지고 있는 시점에서 중국산 부품이 들어간 자동차를 제재하기 시작하면 미국에 있는 기업체들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주요 공급망인 부품까지 규제할 지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beans@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