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고양이 잇단 폐사 사건 ‘다시 미스터리’···원인 지목 사료 ‘적합’ 판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지난해 8월1일 경기 여주시 ‘경기 반려마루 여주’에서 수의사가 고양이 코와 입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검사를 위한 검체를 채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잇따른 고양이 폐사 사례의 원인으로 지목된 사료 등을 조사한 결과 모두 ‘적합’ 판정을 받았다.

12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당국이 검사를 의뢰받은 사료 30여건과 유통 중인 관련 사료 20여건 등 50여건에 대해 유해물질 78종, 바이러스 7종, 기생충 2종, 세균 2종에 대한 검사를 수행한 결과 모두 적합(음성·불검출)으로 판정됐다.

또 폐사한 고양이 10마리를 대상으로 바이러스 7종과 세균 8종, 기생충 2종, 근병증 관련 물질 34종, 농약 등 유해 물질 859종을 조사했으나, 원인 물질이 검출되지 않거나 검출됐더라도 폐사와 직접적인 인과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농식품부는 특정 원인에 의해 고양이들이 폐사했을 가능성이 있는 만큼 원인 물질을 추가로 조사하고 검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동물보호단체 등에서 폐사 원인으로 의심된다며 지목한 특정 사료들과 고양이 폐사의 인과 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면서도 “동물의료계와 사료업계, 동물보호단체 등과 논의를 거쳐 이번 검사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사료 성분에 대한 추가 검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고양이 폐사를 둘러싼 논란은 지난달 동물보호단체 라이프와 묘연이 신경·신장 질환을 겪고 있는 고양이 80마리를 전수조사한 결과를 공개하면서 확산됐다.

피해 고양이들은 뒷다리를 저는 등 신경 증상과 급격한 신장 수치 저하, 높은 간수치, 혈변, 혈뇨, 식욕부진 등의 증상을 보였고, 이 가운데 31마리가 폐사했다.

이들 단체는 수의계에서도 피해 고양이들의 임상 증상이 급성 독성 질환으로 보인다는 의견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특정 제조원에서 생산된 사료가 유일한 공통점이었기 때문에 사료가 원인일 수도 있다는 합리적 의문을 제기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라이프와 묘연에 따르면 12일 현재 비슷한 증상을 보여 피해 신고가 접수된 고양이는 500마리에 육박하고, 이 중 170여마리가 폐사했다.


☞ “먹이니 앓다가 죽었다”…고양이 사료 공포 확산
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404220600005


안광호 기자 ahn7874@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윤 대통령의 마음 속 키워드는? 퀴즈로 맞혀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