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0 (월)

[김선영의 의(醫)심전심] 화장실에 돌아온 휴지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변기에 휴지 버리지 마세요. 쓰레기통에 버려 주세요.”

병원 화장실 벽에 붙은 A4 용지에 인쇄된 문구를 볼 때마다 의문이 떠오른다. 그 문구 아래에는 정반대의 팻말이 있다. “화장지는 변기에 버려 주세요.”

우리나라에서 화장실의 휴지통을 없애려는 노력은 한두 번 시도된 것이 아니다. 가장 최근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을 맞아 공중화장실법 시행령이 개정되면서 면적 2000㎡ 이상 건물 화장실엔 변기 칸 안에 휴지통을 두지 않도록 하는 강력한 조치가 도입됐다. 이를 계기로 당시 대부분 공중화장실에서는 휴지통이 사라졌으나, 올림픽 이후 6년이 지난 지금은 상당수 화장실에서 도돌이표다.

왜 그럴까? 자꾸만 막히는 변기, 그리고 화장실 바닥에 나뒹구는 지저분한 휴지들 때문에 결국 휴지통이 다시 등장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 짐작된다. 누군가는 변기에 화장지가 아닌 이물질을 넣는 시민의식을 탓한다. 휴지를 너무 많이 쓰는 게 문제라고 지적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사람들의 행동이 그리 빨리 바뀌지 않을 것이라 예상했다면 대처를 했어야 했는데, 과연 그렇게 했을까? 이 문제로 가장 고통받는 이들은 화장실을 청소하는 미화원들일 것이다. 그런데 과연 휴지통을 없애면서 이후 발생하는 문제에 대비해 미화원 인력을 충원한 곳이 있을까? 막힌 변기를 뚫는 것은 내 집에서 해도 고통스럽고 비위 상하는 노동이다. 그런 일의 노동 강도가 증가했을 때 일하는 사람의 좌절과 분노는 헤아리기 어렵다. 아마도 휴지통은 그분들의 호소 또는 저항으로 다시 돌아온 것이 아닐까 싶다.

이쯤 되면 궁금해진다. 시행령에까지 문구를 박아 휴지통을 없애려고 했던 사람들은 과연 현장의 이야기를 들었을까? 나는 이에 대해 취재를 해 보지는 않았지만, 아닐 것이라고 단언할 수 있다. 왜냐면 우리 정부는 과거 전공의법 제정, 응급의료법 개정부터 최근의 필수의료 패키지나 의대 정원 확대에 이르기까지 정책과 법을 만들면서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이에 기반해 예상되는 문제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에 대체로 매우 서투르거나 무지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전공의법은 초과노동시간이라는 휴지통을 병원이라는 화장실에서 없앤 과감한 조치라 할 수 있다. 노동시간을 줄이느라 당직이 줄어들었지만, 환자 수는 줄지 않으니 한 번 당직 때 봐야 할 환자가 늘어난다. 휴지통은 없어졌지만 휴지는 사라지지 않았고 휴지를 치울 인력도 부족했던 것과 마찬가지다. 정부와 병원은 입원을 양산하는 박리다매식 진료와 대형병원 환자 쏠림이라는 근본적인 문제에는 손을 대지 않았다. 미화원들은 울며 겨자 먹기로 휴지통을 다시 들여왔지만, 전공의들은 누적되는 모순에 고통받다가 병원을 떠나 버렸다.

의대 정원 확대는 또 하나의 화장실 휴지통 치우기가 아닐까? 휴지통이 없는 화장실은 깔끔할 것이고, 의사가 모든 과에 골고루 충분한 세상은 아름답고 안전할 것이다. 그러나 간단히 휴지통만 없앤다고, 의대 정원만 늘린다고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김선영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

서울신문

김선영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