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신웅수 기자 = 8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수입 과일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서울=뉴스1) 신웅수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개발연구원(KDI)이 강수량 확대·기온 상승 등 날씨 충격이 신선식품 중심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띄울 순 있지만 그 기간은 길지 않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중장기 대응책인 통화정책보다 농산물 수입 확대 등 단기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KDI는 9일 발표한 '기상 여건 변화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에서 일시적 신선식품 가격 변동에 통화정책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이같이 제언했다.
최근 과일을 중심으로 신선식품 가격이 급등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기후 변화와 기상 악화에 의한 작황 부진이 최근 농산물가격 급등의 요인이다.
가령 4월 소비자물가 품목 가운데선 △사과(80.8%) △배 (102.9%) △토마토(39.0%) 등이 치솟았다. 이에 따라 물가 안정을 위해 고금리 유지 등 통화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KDI는 물가를 신선식품 물가와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로 나누고 날씨 충격의 영향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기온과 강수량 충격은 1~2개월 정도 소비자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지만 근원물가에 미친 영향은 작았다.
구체적으로 기온이 과거 추세 대비 10℃ 상승 또는 하락하는 경우 물가 상승률은 단기적으로 0.04%포인트(p) 오르고 강수량이 과거 추세 대비 100mm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경우 0.07%p 상승했다.
KDI는 날씨 충격이 발생한 2개월 이후 소비자물가가 정점에 도달할 때까지 오른다고 봤다. 다만 3개월부터는 효과가 미미하게 나타난다. 날씨 충격은 단기적이란 설명이다.
신선식품 가격은 날씨 충격에 민감하게 움직였다. 평균 기온이 추세 대비 10℃ 상승하는 경우 가격 상승률은 최대 0.42%p 상승하고 평균 강수량이 추세 대비 100mm 증가하는 경우 최대 0.93%p 상승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계절에 따라 물가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했다. 물가상승률은 여름철 강수량이 과거 추세 대비 100mm 증가하는 경우 단기적으로 0.09%p 상승하고 100mm 감소하는 경우 0.08%p 오르는 것으로 추정됐다.
전반적으로 근원물가는 날씨 충격에 거의 반응하지 않았지만 충격의 강도와 빈도가 증가할 경우 출렁일 수 있다.
KDI는 "지구온난화로 여름철 기온 상승과 집중호우 등의 기상이변이 더 빈번하고 강하게 일어나는 경우 이로 인한 물가 변동성이 더욱 확대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소비자물가와 근원물가 간 상호 회귀관계도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소비자물가는 근원물가로 회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식료품 및 에너지 가격의 변동이 중기적 관점에서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란 분석이다.
이에 따라 KDI는 중기적 물가 안정을 추구하는 통화정책으로 작황 부진에 따른 소비자물가 상승에 대응할 필요성이 낮다는 결론을 냈다. 이어 날씨 충격에 따른 물가 영향을 줄이기 위해선 농산물 수입 확대 등의 구조적 방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세종=유재희 기자 ryuj@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