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물가와 GDP

OECD, 한국 성장률 2.2→2.6% 상향…물가는 0.1%p 하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2.2%에서 2.6%로 상향 전망했습니다.

올해 물가 상승률은 2.6%로 소폭 하향 조정했습니다.

OECD는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우리나라 경제가 2.6%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는 지난 2월 제시한 전망치 2.2%보다 0.4%포인트 상향한 것입니다.

OECD의 전망치는 국제통화기금(IMF) 2.3%, 정부 2.2%, 한국개발연구원 2.2%, 한국은행 2.1% 등 다른 주요 기관보다 높습니다.

최근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예상을 웃도는 1.3%로 나타나 정부와 한은도 기존 전망을 상향 조정하는 작업에 나서고 있습니다.

주요국인 미국과 중국 등의 성장률 상향도 우리나라 전망 상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

OECD는 올해 미국 성장률 전망치를 2.1%에서 2.6%로, 중국은 4.7%에서 4.9%로 각각 상향 조정했습니다.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2.9%에서 3.1%로 높였습니다.

OECD는 한국 경제가 견고한 반도체 수요 등에 따른 수출 호조에 힘입어 일시적 소강 국면에서 벗어나 성장세가 강화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소비와 투자도 단기적으로는 고금리·고물가의 영향을 받겠지만 올해 회복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내년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2.1%에서 2.2%로 0.1%p 올려 잡았습니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7%에서 2.6%로 0.1%p 하향 조정했습니다.

식료품 가격 압력과 에너지 가격 상승에도 연말로 갈수록 물가 상승세가 완화되면서 목표치인 2.0%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OECD는 올해 연말까지는 정책금리가 현 수준(3.5%)을 유지한 뒤 내년 중반에 2.5%까지 점진적으로 내려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기획재정부는 "우리나라의 성장률 전망치(2.6%)는 주요 20개국(G20) 가운데 1인당 국민소득이 2만 달러 이상인 국가 중 미국(2.6%)과 함께 가장 높은 수치"라며 "OECD 회원국 38개국 중에서는 네 번째에 해당한다"고 강조했습니다.

OECD는 빠른 고령화에 대응해 재정·노동·연금 등의 구조 개혁을 권고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재정 준칙의 도입, 외국인력 유입 확대, 노후 보장과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연금 개혁 등을 제안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김지성 기자 jisung@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