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6 (목)

이슈 세계 금리 흐름

美 고임금의 역습…올해 금리인하 물건너 가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준 선호 임금지표 'ECI' 전분기대비 1.2%↑

2022년 2분기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 기록

임금상승→소비자가격인상→인플레 재자극

2년물 국채금리 5% 재돌파…킹달러 현상 강화

6회 연속 금리 동결…추가인상 언급 확률은 적어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미국의 고물가 고착화 우려가 커진 상황에서 임금 상승 압력이 다시 강해지면서 올해 금리인하 기대가 아예 물 건너 갔다는 우려 섞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인건비가 오르면 기업들은 비용을 소비자가격에 전가해 ‘임금-가격 스파이럴(소용돌이)’ 현상이 나타나 인플레이션을 다시 자극할 수밖에 없어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인플레이션과의 전쟁에서 ‘라스트 마일’(Last mile·목표에 이르기 전 마지막 구간)을 앞두고 심각한 고비를 맞고 있다.

이데일리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 (사진=AF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연준 선호 임금지표 다시 가속화…인플레 자극 우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지난 1분기 고용비용지수(ECI)는 전분기 대비 1.2%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작년 4분기(0.9%)보다 높아졌을 뿐 아니라 다우존스가 조사한 경제학자 전망치(1%)도 훌쩍 뛰어넘었다. 2022년 2분기(1.3%)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전년동기 대비로는 4.2% 상승했다.

민간 근로자의 임금 및 급여는 3분기 연속 1.1% 증가했다. 1년 전보다는 4.4% 상승했다. 여기에는 연초 미국의 절반 가량의 주에서 최저임금이 인상된 여파가 영향을 미쳤다.

ECI는 연준이 고용시장의 인플레이션 압력을 따질 때 선호하는 지표다. 이는 고용인이 노동자에게 지불하는 평균 인건비로, 임금과 인센티브에 복리후생비용 등을 전부 포함하기 때문에 노동비용 변화에 가장 가깝게 알려주는 지표이기 때문이다.

ECI가 다시 오름세를 보인 것은 인플레이션 고착화에 대한 확신을 키웠다. 이는 연준의 ‘인플레 싸움’이 힘겨워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서비스가 핵심인 미국 경제를 고려하면 인건비가 뛸수록 물가압력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기업들은 인건비 부담을 소비자가격 인상으로 전가 시키기 때문이다. 경제가 둔화 조짐이 보일 땐 가격 인상을 자제하겠지만, 지금처럼 미국 경제가 호황일 때는 ‘가격 인상 카드’를 꺼내 들기 쉬워진다. 결국 인플레이션이 더욱 자극받을 수밖에 없다.

에버코어ISI의 크리슈나 구하 부회장은 “실망스러운 인건비 지표는 연준의 인플레이션 전망에 대한 확신을 떨어트리는 요인이 될 것”이라며 “연준이 더 강경한 어조(매파 색채)를 낼 것”이라고 예상했다. 씨티그룹의 글로벌 이코노미스트인 로버트 소킨은 “1.2%라는 수치는 인플레이션과 임금 상승 데이터가 연준의 목표와 일치하지 않는 잘못된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증거”라며 “연준에게는 부담스러운 지표다”고 진단했다.

이를 반영하며 이날 시장에서 국채금리는 다시 치솟았다. 이날 연준 정책에 민감하게 연동하는 2년물 국채금리는 약 7bp(1bp=0.01%포인트)나 상승하며 5.043%까지 뛰어 올랐다. 글로벌 국채 벤치마크 역할을 하는 10년물 국채금리도 7.6bp 오르며 4.688%까지 상승했다. 고금리 장기화 우려가 강화된 것이다. 킹달러 현상도 다시 강해졌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0.68%나 오르며 106.29를 기록했다.

금리인하 시점은 뒤로 밀리고, 올해 인하폭도 한차례로 축소되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FFR) 선물시장은 올해 금리인하가 기껏해야 한차례에 불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첫 인하시점은 11월로 밀렸는데, 가능성도 57.1%에 불과하다.

골드만삭스의 데이비드 메리클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인플레이션이 예상치를 웃돌면서 올해 금리인하 경로가 불투명해졌지만, 향후 물가보고서가 양호하게 나올 것으로 예상하며 7월과 11월에 인하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면서도 “다만 추가적인 인플레 반등이 나온다면 금리인하를 더 지연시킬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인플레이션 고착화 가능성이 커지면서 미국 소비자들이 경제에 대해 낙관론을 점차 접고 있다. 콘퍼런스보드는 4월 소비자신뢰지수가 97.0으로, 3월 수정치인 103.1보다 6.1포인트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3개월 연속 하락하면서, 2022년 7월 이후 2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연준, 6회 연속 금리 동결…추가인상 언급 가능성은 작아

이런 상황에서 연준은 1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기준금리를 5.25~5.5%로 동결할 예정이다. 지난 9월 이후 6회 연속 동결이다.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올해 2% 목표치에 대한 추가 진전이 부족하다(lack of further progress)”며 “목표치를 향한다는 확신에 이르기까지 기존 예상보다 더 오랜 기간이 걸릴 것 같다(taking longer than expected)”는 발언을 재차 밝힐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시장은 파월 의장이 금리인상과 관련 어떤 스탠스를 취할지에 주목하고 있다. 파월 의장은 지난 16일 “통화정책이 우리가 직면한 위험을 처리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고 밝힌 바 있어 추가적인 금리인상 가능성을 언급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시장의 판단이다. 특히 금리인상이 다시 현실화하려면 심각한 글로벌 공급 충격이 발생하거나 인플레이션이 크게 반등해야하는데 아직까지는 그런 정황은 나타나지 않고 있어 연준이 금리인상 카드를 다시 꺼내들 가능성은 작다고 보고 있다.

월가의 대표적인 강세론자로 알려진 제레미 시걸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 교수는 “연준이 금리인상을 고려하고 있는지에 대한 기자단의 질문이 있을 것이고 파월 의장은 기존처럼 ‘데이터에 달려 있다’는 발언을 반복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EY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그레고리 다코는 “연준 이사들은 현재 금리수준이 정점에 도달한 것 같다는 점을 여전히 믿고 있다”면서 “파월 의장이 ‘올해 어느 시점에 정책을 완화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라는 언급을 재차 강조할지가 포인트”라고 진단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