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부머는 높은 학력·자산수준
세대 간 '일자리 상생 협력' 논의
주 부위원장은 29일 서울 종로구 정부청사 별관에서 열린 '초고령사회, 고용·일자리 세대 공존을 위한 전략 포럼'에서 "(앞으로) 고령 노동의 성격과 노인 빈곤 문제의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60년대생 베이비부머 고령층은 이전 노인 세대와 달리 고학력이며 일정 수준의 자산을 가진 경우가 많다"며 "며 "고령자의 연령대별, 코호트(동일 집단)별 이질성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간 고령자 복지에 치우쳤던 정책을 개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는 "인구 고령화 속도와 변화 양상을 고려할 때 향후 10년 계획이 대단히 중요하다"며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각계각층, 관계부처, 국책·민간 연구기관 등을 중심으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겠다"고 발언했다. 이어 "올해 전국 중위연령은 46세로 2056년에 (중위연령이) 60세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의성군 등 24개 지역은 중위연령이 이미 60세 이상"이라며 "지역별 특성에 따른 구체적 전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주 부위원장은 "고령 친화 산업을 새로운 성장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디지털 헬스케어, 인공지능, 로봇, 핀테크 등 혁신적 기술을 통해 건강한 노후 생활을 유지하고, 국민의 삶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포럼에서는 고령 인력 활용 활성화 방안, 세대 간 고용·일자리 상생협력 방안 등이 논의됐다.
오지은 기자 jo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