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여의도연구원'으로 들어가는 문이 26일 굳게 닫혀 있다. 여의도연구원은 1995년 설립된 국내 최초의 정당 정책 연구소로 보수 정당의 싱크탱크 역할을 수행해 왔다. 박자경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4·10 총선에서 국민의힘이 참패한 것을 두고 다양한 원인이 지적되는 가운데 집권 여당 싱크탱크이자 1995년 설립된 국내 최초의 정당 정책 연구소 '여의도연구원(여연)'의 추락이 그 중심에 있다는 주장이 26일 제기됐다. 이날 매일경제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여연 노동조합의 입장문을 입수했다. 노조는 홍영림 원장의 인사 전횡 등을 폭로하며 사퇴까지 요구했다.
정치권에서는 여연이 누적돼온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며 사실상 '싱크탱크' 역할을 상실했다는 평가를 내놨다. 우선 인력 축소에 따른 정책 기능 약화가 꼽힌다. 특히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된 이후 여연은 빠르게 힘을 잃으며 인원도 대거 줄었다.
무엇보다 여연 정책실 인원이 급격히 감소했다. 노조에 따르면 박 전 대통령 탄핵 직후에도 정책실 인원은 10여 명에 달했다고 한다. 하지만 최근 6명의 인력 중 2명이 나가면서 정책실 인원은 4명으로 쪼그라들었다. 당 사무처에서 파견하는 연구지원실 인력(5명)보다도 적은 게 현실이다. 대선 국면에서 2~3명 남아 있던 박사급 인력 역시 현재 한 명뿐이다.
또 현재 연구진 중에는 경제학 전공자가 한 명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에 강한 보수 정당'을 자임하는 국민의힘 싱크탱크에 경제학 전공자가 전무하다는 얘기다.
여연 내부에서 공채 인력인 정책실과 당 사무처 파견 인력인 연구지원실 사이의 반목도 극심한 상황이다. 과거 여연 사정에 정통한 한 정치권 인사는 "당에서 여연으로 파견된 일반 당무직 인력들이 여연에 특수 전문직이 들어오는 것을 경계한다"며 "여연 내에서도 당 파견 출신들이 주축이 돼서 움직이는데, 전문직들이 들어오면 '본류'로서의 비중 자체가 줄어들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번 총선 기간에는 정책실 인원이 주말과 선거일 당일 출근을 하지 못하는 기이한 현상이 벌어지기도 했다. 통상 총선을 50~60일 앞둔 상황에서는 여연 인력 전원이 비상근무를 한다. 그동안 정책실은 비상근무 기간에 선거대책위원장 일정에 맞춰 지역구에 소구할 수 있는 공약을 개발해왔다. 이번에는 이 업무를 평일에 몰아서 할 수밖에 없었다는 게 정책실 측 주장이다. 노조 측 관계자는 "이번에 노조에서 비상근무 수당 산정 방식을 연구지원실에 문의했는데, 이후 정책실까지는 비상근무를 할 필요가 없다는 지시가 내려왔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홍영림 원장은 "사무처 파견 인력의 수당이 정책실 등 다른 인력 대비 비교적 낮아 일단은 선거를 치른 후에 검토를 하자고 했던 상황"이라고 말했다.
총선 국면에서 긴밀한 협업이 필요한 정책실과 전략실 간 소통도 부재했다. 여연 관계자는 "전체 선거 기획을 하면 정책실이 어떻게 받쳐줘야 할지 협조를 해야 하는데, 이번에는 그러지 못했다"고 전했다. 당 지도부 결정에 따라 여연 권한과 역할이 제한된다는 점도 문제로 제기된다. 과거 여연 소속이었던 한 인사는 "여연이 조사를 바탕으로 전략을 짜면 지도부가 이를 수용해야 하는데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노조는 이로 인해 여연이 싱크탱크로서 중장기 과제에 집중할 수 없었다는 점을 꼬집었다. 노조는 "원장은 당 최고위원회의에 배석하며 이 자리에서 당 대표의 숙제를 받아오거나 본인의 정치적 어필을 위해 당장 눈앞의 현실만 다루는 초단기 현안 과제에 집중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총선에서는 여연이 여론조사 결과조차 각 후보들에게 공유하지 않다가 막판에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때문에 후보들이 '깜깜이' 선거 대응을 할 수밖에 없었다. 또 다른 여연 관계자는 "원래는 시도별로 후보들한테 여론조사 결과를 곧바로 전달했는데, 이번에는 전체적인 전략이 우선이라고 생각한 지도부의 판단이 있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노조는 홍영림 원장이 폭언과 인사 갑질을 했다고 폭로하기도 했다. 노조는 "홍 원장이 객원연구원이 속한 해당 부서의 장을 통해 네 차례에 걸쳐 재계약을 진행하겠다고 약속했지만 계약 연장을 안 해주겠다고 통보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여연은 예정된 계약 만료 등으로 인한 인사 조치였다고 반박했다. 홍 원장은 "폭언은 아예 허위 사실이고, 대응 조치를 생각하고 있다"며 "용역 계약직의 계약을 반드시 연장해야 한다는 법적인 의무도 없다"고 해명했다.
지도부 부침으로 인해 여연 수장이 자주 교체되고 조직·업무 연속성이 약화된다는 것도 문제로 제기된다. 대선 이후 2년간 여연 원장은 세 번이나 바뀌었다.
[신유경 기자 / 안정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