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4 (토)

[사설] “광복 100주년 화성에 태극기” 우주항공청 닻 올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판 NASA(미국 항공우주국)’를 표방하며 오는 5월 출범할 우주항공청(KASA)의 청장과 임무본부장 등 고위직 인선이 마무리됐다. 우주항공청은 과학기술부·산업부·항공우주연구원·천문연구원 등 여러 부처·조직에 쪼개져 있는 관련 업무를 통합해 우주 개발과 우주 산업 육성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할 기구다. 가장 핵심인 연구 개발 총괄 임무본부장에 대해 정부는 연봉을 대통령과 같은 2억5000만원으로 책정하고, 외국인에게도 문호를 개방하는 등 파격 조건을 내걸고 모집했는데, 존 리 전 NASA 본부장이 낙점됐다.

그는 미국 국적의 이민 1.5세대 한인으로, NASA 고다드 우주비행센터 등에서 29년간 재직하며 각종 우주 프로젝트를 담당하고, 백악관 행정예산국에서 예산 업무도 맡았다. 미국의 우주 개발 노하우를 전수받고 NASA와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인선으로 보여진다. 2013년 박근혜 정부 시절, 재미 한국인 기업인 김종훈 전 벨연구소 소장이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에 내정됐다가 야당이 이중 국적 등을 비판하는 바람에 중도 하차한 적이 있다. 이런 시대착오적 논란이 재연돼선 안 되겠다.

지난해 5월 ‘누리호’ 발사 성공으로 중량 1t 이상 위성을 자력 발사할 능력을 갖춘 일곱 번째 우주 자립국이 됐지만, 우주 선진국과 비교하면 초보적 수준이다. 미국 등에선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 등 민간 기업들이 우주 산업에 뛰어들어 지구 전역을 커버하는 위성 인터넷망 구축, 재활용 로켓, 유인 달 착륙 프로젝트 등 ‘우주 산업혁명’을 이끌어가고 있다. 민간의 기술 혁신 덕에 로켓 발사 비용이 획기적으로 줄어들면서 우주가 안보·군사의 공간에서 경제·산업의 공간으로 진화하는 중이다. 각종 우주 산업의 시장 규모는 현재 520조원에서 2040년엔 1400조원으로 급성장할 전망이다.

우주항공청 앞에는 발사체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출 로켓 회수 및 재활용 기술, 더 무거운 인공위성과 탐사선을 쏘아 올릴 기술 개발 등 숱한 난제가 놓여 있다. 정부는 2032년 달을 탐사하고, 광복 100주년인 2045년엔 화성에 무인 탐사체를 보내 태극기를 꽂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허황돼 보일 수도 있지만 우리의 역사는 꿈을 현실로 이뤄온 여정이다. 우주항공청이 우주 개발의 첨병이 되어 한국 우주개발의 역사를 써주길 기대한다.

[조선일보]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