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하마스·이스라엘 무력충돌

이스라엘-이란 전면전, 국내 물가에 '악몽'…"4분기 상승률 최대 4.98%"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경협 "원유 수급 차질로 국제유가 급등 우려"

뉴스1

14일 (현지시간) 이스라엘 아슈켈론에서 방공망 아이언돔이 이란의 드론과 미사일을 향해 발사되는 모습이 보인다. 2024. 4. 15 ⓒ 로이터=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한재준 기자 = 이스라엘과 이란 분쟁이 전면전으로 치달을 경우 유가 폭등으로 올해 4분기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이 최대 4.98%까지 치솟을 거란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24일 '국제유가 충격이 국내 물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를 발간하고 이스라엘-이란 분쟁 상황에 따른 시나리오별 국내 물가 전망을 공개했다.

보고서는 이스라엘-이란 분쟁에 따른 국내 물가 변동 시나리오를 △현 수준의 긴장상태 유지 △국지전으로 인한 소규모 원유 수급 차질 △전면전 발생으로 인한 중규모 수급 차질 △전면전 발생으로 인한 대규모 수급 차질 등 4가지로 나눠 분석했다.

이스라엘-이란 양국이 현재의 긴장상태를 유지할 경우 국제유가는 배럴당 88.55달러를 유지, 올 4분기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분기(3.00%)와 비슷한 3.01%로 전망된다.

국지전이 전개될 경우 국제유가는 97.5달러로 올라, 4분기 국내 물가는 3.37% 상승할 것으로 분석했다.

중동분쟁이 전면전으로 확대될 경우에는 국내 물가가 급격히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보고서는 전면전으로 하루 원유 생산량이 이라크 전쟁 수준(300만~500만배럴)으로 줄어들 경우 국제유가가 115.0달러로 급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경우 4분기 국내 물가상승률은 4.00%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면전이 1973년 석유 금수조치(600만~800만 배럴) 수준의 원유 감산을 초래할 경우 국제유가는 148.5달러로 치솟아 4분기 국내 물가상승률은 4.98%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유가 급등에 따른 물가 불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원유 도입선 다변화, 비축량 확대, 가격 헤지 등 원활한 원유 수급대책을 사전에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hanantway@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