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세계 금리 흐름

ECB 빌르루아, 중동발 우려에도 “6월 금리인하, 늦춰선 안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유럽중앙은행(ECB) 정책위원인 프랑수아 빌르루아 드갈로 프랑스 중앙은행 총재가 중동발 지정학적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다시 한번 6월 정책금리 인하 필요성을 강조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AF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드갈로 총재는 21일(현지시간) 프랑스 대표 일간지 레제코(Les Echos)와의 인터뷰에서 유가 상승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통화정책 완화 시작 시점이 늦춰질 수 있느냐는 질문에 "아니다. 놀라운 일이 벌어지지 않는 한, 너무 오래 기다려선 안 된다"고 밝혔다.

이러한 발언은 최근 이란의 이스라엘 공격에 따른 재보복 가능성, 유가 상승 우려 등 중동발 리스크가 커진 가운데 나와 눈길을 끈다. 드갈로 총재는 “현시점에서 현저한 유가 상승으로 이어지진 않고 있다"면서 "우리는 이 충격이 일시적이고 제한적인지, 아니면 상품을 넘어 근원적인 인플레이션까지 전염되는지 분석해야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내년 물가안정목표 2% 달성이 가능하다면서 “실용적인 속도(at a pragmatic pace)로 추가 (금리)인하가 잇따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동발 유가 상승 리스크 등으로 인해 ECB의 금리 인하 시점이 당초 예상보다 늦춰질 수 있다는 매파(통화 긴축 선호) 목소리에도 불구하고, 6월부터 인하가 시작돼야 한다는 방침을 유지한 것이다. 그간 드갈로 총재는 고금리 장기화 시 성장 하방 압력이 커질 수 있다면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행보와 무관하게 6월 인하를 주장해왔다.

드갈로 총재는 "외부 총격으로 인플레이션이 위협받을 경우 이를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을 항상 갖추고 있다"면서 "내년까지 물가안정목표 2%를 달성할 것이라는 충분한 확신을 갖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처럼 중동발 리스크에도 6월 인하 기조를 유지한 ECB 당국자는 드갈로 총재만이 아니다. 앞서 요아힘 니겔 독일 연방은행 총재는 여전히 높은 근원 물가, 서비스 물가를 지적하면서도 "6월 인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 역시 "디스인플레이션에 조금 더 확신이 필요하다"면서도 "큰 충격 없이 예상대로 움직인다면 통화정책을 완화해야 할 시점을 향해 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제롬 파월 의장이 직접 금리 인하 시점이 밀릴 수 있음을 시사한 Fed와 대조적이라는 평가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