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6 (월)

이슈 G7 정상회담

G7 참석 불발에… 대통령실·野 ‘외교력’ 공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통령실 “阿 이슈 위주 초청… 존중

‘韓, G7 참여’ 국제적 공감대 형성 중”

野 “尹정부 ‘G7 플러스 외교’ 무색

국제정세 논의 중요 자리서 배제”

한국이 오는 6월 이탈리아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초청받지 못한 것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대통령실은 “올해 의장국인 이탈리아는 자국 내 이민 문제와 연결된 아프리카·지중해 이슈 위주로 대상국들을 선정한 것으로 이해하고 이를 존중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그렇지만 야당은 “글로벌 중추국가 기치를 내걸고 국제적 위상을 강화하겠다던 윤석열정부의 ‘G7 플러스 외교’가 무색해졌다”고 비판하고 있다.

세계일보

18일(현지시간) 이탈리아 휴양지 카프리섬에서 열린 7개국(G7) 외교장관회의 참석자들이 단체 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 두번째 줄 부터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교장관, 요셉 보렐 유럽연합 외교정책실장, 안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외교장관, 옌스 스톨텐베르크 나토 사무총장, 스테판 세주르 프랑스 외교장관, 멜라니 졸리 캐나다 외교장관, 안토니오 타지니 이탈리아 외교장관,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교장관, 안날레나 베어복 독일 외교장관. AF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1일 대통령실과 정치권에 따르면 대통령실은 전날 보도자료를 통해 “G7 정상회의는 의장국의 관심 의제에 따라 초청국을 선정해왔으며, G7과의 협력은 정상회의 참석 형태로만 이뤄지는 게 아니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은 또 “2011년 프랑스, 2015년 독일, 2017년 이탈리아의 경우 모든 초청국을 아프리카 국가로만 구성했다”며 “G7과의 협력은 정상회의 참여 형태로만 이뤄지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라 주요 국제 현안에 대한 연중 상시 공조의 형태로, 올해 여러 G7 장관급 회의에 초청받아 분야별 논의에 긴밀히 참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현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의 성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비상임 이사국 수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2022∼2024년 3년 연속 초청 △지난 3월 제3차 민주주의 정상회의 개최 △2024년 5월 인공지능(AI) 서울 정상회의 개최 등을 언급했다. 대통령실은 “최근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카네기 연구소 등 미국 주요 싱크탱크 보고서에서 한국 참여를 통한 G7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며 “우리의 G7 참여에 대한 국제적 공감대가 형성돼 가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강선우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에서 “대중관계를 희생시키면서까지 미·일을 비롯한 서방국가와의 연대를 강화해 왔음에도 이런 결과라니 참담할 지경”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대통령실이 ‘의장국인 이탈리아가 국내 정치와 연계해 초청 대상국을 선정한 것’이라 입장을 낸 데 대해서도 “궁색한 변명과 어설픈 핑계로 외교 실패를 덮으려는 시도에 기가 막힐 노릇”이라며 “윤석열정부는 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사태, 한반도 신냉전 등 급박하게 돌아가는 국제정세를 논의할 중요한 자리에서 사실상 배제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세계일보

지난 2023년 5월 20일 G7 의장국인 일본 초청에 따른 참관국(옵서버) 자격으로 G7 정상회의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이 일본 히로시마 그랜드 프린스 호텔에서 각국 정상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G7은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캐나다·일본 등 주요 7개 나라의 모임으로, 그해 의장국의 관심 의제에 따라 재량껏 초청국을 선정한다. 한국은 2020년 이후 G7 정상회의에 3차례 초청받았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5월 일본의 초청을 받아 히로시마 정상회의에 참석했다.

이현미·김예진·김승환 기자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