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1 (수)

농촌소멸 전주곡…농가 100만 무너지고, 노인 비율 50% 넘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2021년 10월 20일 부산 강서구 강동동 논에서 이재림(75)씨가 벼를 수확하고 있다. 중앙포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농촌 소멸’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다. 농가 수가 100만 가구 밑으로 떨어졌고, 노인 비율이 50%를 넘어섰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농림어업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2월1일 현재 농가 수는 99만9000가구로 전년(102만3000가구) 대비 2.3% 감소했다. 100만 가구가 붕괴한 건 관련 조사를 시작한 1949년 이래 처음이다. 같은 기간 전체 가구 중 농가 비율은 4.8%에서 4.6%로 줄었다. 농가 인구는 216만6000명에서 208만9000명으로 축소했고, 전체 인구 중 농가 인구 비율은 4.2%에서 4.0%로 내려갔다.

이런 농가 규모 축소세는 10년 이상 이어져오고 있다. 그 이유로 통계청은 “고령에 따라 농업을 포기하거나 다른 직업으로 업종 변경을 한 가구가 많았던 탓이 크다”고 분석했다.

농가가 줄어들면서 논과 밭 면적도 감소세다. 지난해 전국 경지면적은 151만2145㏊로 전년(152만8237㏊)보다 1.1% 낮아졌다. 1년 사이 축구장(0.71㏊) 2만2500개가량과 비슷한 면적의 경지가 사라진 것이다. 사라진 경지 자리는 상업시설 등으로 채워져 도시화가 된 경우가 많다는 설명이다.

중앙일보

정근영 디자이너



농가 축소 흐름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농가 고령화가 심화하고 있어서다. 지난해 12월1일 농가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52.6%로 전년(49.8%)보다 2.8%포인트 늘었다. 해당 비율이 과반수가 된 것 역시 처음이다. 국내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비율이 18.2%라는 점을 고려하면 농가의 고령화 문제는 더욱 두드러진다. 국내 전체 인구 구조가 ‘항아리형’ 인구 구조로 접어든 가운데, 농촌 인구 구조는 더 심각한 ‘역(逆)피라미드형’이 된 것이다.

젊은층이 지방의 농촌을 떠나 수도권 도시로 이동하는 트렌드 탓에 농가에 노부부만 남는 경우가 늘고 있기도 하다. 지난해 12월1일 현재 농가의 1~2인 가구 수 비율은 80.1%로 전년(79.2%)보다 0.9%포인트 올라갔다. 이는 ‘지방 소멸’ 문제로 번진다.

김한호 서울대 농업자원경제학과 교수는 “농업은 식량 안보와 직결되기 때문에 반드시 지켜야 한다”며 “농가 수와 인구 수 감소를 막을 수 없다면 기계화 등 생산성을 제고하는 노력에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농가와 마찬가지로 어가와 임가도 축소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해 12월1일 어가 수는 4만1800가구로 전년(4만2500가구) 대비 1.8% 줄었고, 같은 기간 어가 인구는 9만800명에서 8만7100명으로 감소했다. 어가 인구 가운데 65세 이상 비율은 44.2%에서 48.0%로 상승했다. 임가 수는 10만600명에서 9만9200명으로, 임가 인구는 21만100명에서 20만4300명으로 역성장했다. 임가 인구 중 고령 인구 비율은 48.8%에서 52.8%로 상승했다.

세종=김민중 기자 kim.minjoong1@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