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혼돈의 가상화폐

홍콩 ETF 승인 수혜는? '비트코인'보다 '이더리움' 시험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한태봉 전문기자 = 홍콩 증권선물위원회(SFC)가 아시아 최초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현물 ETF(상장지수펀드)를 동시에 승인했다. 암호화폐 투자자들의 기대치 역시 크게 높아진 상황이다. 이에 따라 ETF 승인 발표 후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가격이 반짝 급등 했지만 금세 제자리로 돌아왔다.

◆ 중국인은 못 사는 '비트코인 ETF'는 반쪽에 불과

냉정히 살펴보면 홍콩의 ETF 승인은 비트코인 투자자들에게 큰 호재가 되기 어렵다. 가장 큰 이유는 홍콩의 금융허브 위상이 예전 같지 않기 때문이다. 지금 세계의 금융중심지는 미국이다. 원래부터도 미국과 비교하기 어려웠던 홍콩의 위상은 최근 몇 년간 더 크게 위축됐다. 심지어 싱가포르에도 밀리고 있는 게 현실이다.

홍콩이 과거의 위상을 찾으려면 먼저 중국의 과도한 규제부터 완화돼야 한다. 또 중국 본토 자금이 자유롭게 들어올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중국 규제당국 입장은 강경하다. 여전히 중국인들은 비트코인을 매수할 수 없다. 중국 자금이 들어올 수 없는 '홍콩 상장 비트코인 ETF'는 반쪽 짜리에 불과하다.

왜 다른 나라 투자자들이 안정적인 '미국 상장 비트코인 ETF' 대신 불확실성 가득한 '홍콩 상장 비트코인 ETF'를 매수해야 할까? 과거 홍콩이 금융허브의 위상을 가졌던 건 중국으로부터 독립적인 완전한 자율성 덕분이었다. 또 막대한 중국 본토자금의 유입 영향도 컸다. 하지만 현재의 홍콩은 과거의 장점이 상당 부분 사라진 상태다.

돈은 냉정하다. 돈은 안전하다고 생각되는 곳으로만 흐른다. 미국 1위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의 비트코인 현물 ETF인 'IBIT'의 시가총액은 이미 22조원(172억달러)을 넘어섰다. 매일 매일 자금이 유입되며 신기록을 쓰고 있다.

반면 중국 정부는 여전히 개인들의 비트코인 매수를 법으로 금지하고 있다. 이런 정부의 감독하에 있는 중국 자산운용사 '화샤기금(ChinaAMC)'과 '보세라자산운용'의 '홍콩 상장 비트코인 현물 ETF'를 굳이 매수할 이유를 찾기는 어려워 보인다.

그렇다면 중국 정부는 향후 중국인들의 비트코인 투자 금지 정책을 완화해 줄 가능성이 있을까? 상당기간은 규제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중국의 최대 고민은 외부로의 자금유출이다. 중국은 부동산 폭락과 주식시장 약세로 심각한 경기침체를 겪고 있다. 이 와중에 비트코인을 통해 자금마저 해외로 유출되면 그야말로 최악이다.

세계 최초로 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을 제일 먼저 승인한 나라는 미국이 아니라 캐나다였다. 하지만 캐나다의 비트코인 현물 ETF 거래대금 규모는 기대에 크게 못 미쳤다. 금융의 중심지인 미국이 승인하고 나서야 폭발적으로 자금이 유입됐다.

이런 사례들로 볼 때 대규모 자금이 '홍콩 상장 비트코인 ETF'에 유입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은 너무나도 낙관적이다. 전망이 빗나갈 가능성이 크다. 지금의 홍콩은 비트코인의 탈 중앙화 가치와도 맞지 않는 곳이다. 결론적으로 홍콩 비트코인 ETF 승인은 실제 비트코인 가격에 별 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뉴스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비트코인보다 이더리움 수혜 가능성 더 높아

하지만 이번 홍콩 ETF 승인으로 기대감이 남다른 투자자 그룹이 있다. 바로 이더리움 투자자들이다. 이더리움은 시가총액 2위의 암호화폐다. 현재 시가총액은 약 550조원으로 비트코인의 3분의 1 수준이다. 한 때는 비트코인 시가총액의 절반까지 추격하기도 했다.

이더리움 선물 ETF는 미국, 홍콩, 유럽 등 일부 국가에서 상장에 성공했다. 하지만 현물 ETF 상장 도전은 번번이 실패해 왔다. 이번 홍콩의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은 세계 최초다. 이에 따라 이더리움도 본격적인 제도권 진입이 시작된 셈이다.

비트코인은 세계 최초의 암호화폐라는 역사성과 희소성으로 인해 많은 투자자들의 지지를 받아 왔다. 반면 비트코인보다 늦게 개발된 이더리움은 조건을 만족하면 자동으로 계약을 체결하는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 기술력을 바탕으로 입지를 넓혀왔다.

미국에서는 지금 이더리움 현물 ETF 상장 심사가 한창 진행 중이다. 문제는 이더리움의 '증권성'에 대한 논란이다. 암호화폐에 부정적인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게리 겐슬러 의장은 이더리움이 '증권'에 해당하는지를 꼼꼼히 살펴보고 있다.

이더리움은 '제3자의 노력에 의한 수익 기대'나 '이더리움 재단'이라는 명확한 발행 주체가 '증권'에 가까운 요소로 지적 받고 있다. 만약 이더리움을 '상품'이 아닌 '증권'으로 분류한다면 이더리움 발행 주체는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인허가를 받아야 한다. 따라서 이미 '상품'으로 판명 난 비트코인과 달리 상당히 까다로운 규제를 받게 된다.

이런 미묘한 시기에 홍콩 증권선물위원회(SFC)가 이더리움 현물 ETF를 승인했다. 이는 이더리움의 미국 현물 ETF 상장 심사에도 유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만약 이더리움이 제도권에 본격적으로 진입한다면 비트코인과의 경쟁을 통해 점유율 중 일부를 가져올 가능성은 충분하다. 따라서 홍콩의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최대 수혜자는 이더리움 투자자들이다.

◆ '이더리움 ETF' 양날의 칼, 기관 수요가 관건

하지만 중요한 포인트는 과연 '이더리움 현물 ETF'가 실제 상장됐을 때 정말로 기관투자자들의 수요가 충분할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이다. '이더리움 선물 ETF'에 대한 기관투자자 수요는 투자자들의 기대와 달리 미미했기 때문이다.

뉴스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에 상장된 이더리움 선물 ETF로는 프로셰어즈 이더리움 스트레티지 ETF, 반에크 이더리움 스트레티지 ETF, 비트와이즈 이더리움 스트레티지 ETF 등이 있다. 시가총액은 각각 818억원(6291만달러), 360억원(2769만달러), 145억원(1119만달러)에 불과하다.

홍콩에 상장된 이더리움 선물 ETF인 'CSOP 이더리움 퓨쳐스 ETF' 역시 시가총액이 고작 600억원(33억홍콩달러)에 불과하다. 반면 비트코인 현물 ETF인 블랙록의 '아이셰어즈 비트코인 트러스트 ETF(IBIT)'의 경우 22조원(170억달러)의 막대한 시가총액을 자랑한다.

이런 엄청난 시가총액 차이는 '이더리움 현물 ETF'가 상장되면 좁혀질 수 있을까? 모든 투자자들이 흥미롭게 바라보는 관전 포인트다. 비트코인의 인지도가 전 세계적인 것과 달리 아직 이더리움의 인지도는 비트코인보다 낮은 게 현실이다.

여전히 암호화폐는 극도의 위험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기관투자자들이 암호화폐 투자 검토 시 1등인 비트코인 대신 2등인 이더리움을 편입하려는 수요가 얼마나 될 지는 실제 거래가 개시돼 봐야 알 수 있다. 세계 최초의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은 투자자들에게는 기회이자 위기일 수 있는 양날의 칼이다.

중요한 건 암호화폐가 점점 더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는 사실이다. 미국과 홍콩에 이어 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 일본, 한국 등도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현물 ETF 상장 압력이 더 커질 수 있다. 유럽 역시 마찬가지다. 이는 암호화폐 시장 확대에는 긍정적이다. 홍콩의 비트코인∙이더리움 현물 ETF 동시승인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 이유다.

longinus@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