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이 세월호 희생자인 사실을 7년 만에 알게 된 친모에게 국가가 3억 7000만원을 배상해야 한다는 판결이 확정됐습니다.
서울고법 민사17-3부(부장판사 오영준 한규현 차문호)는 지난달 28일 세월호 참사 단원고 희생자의 친모 A씨가 국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청구 파기환송심에서 원고 일부 승소로 판결했습니다. 국가와 A씨가 모두 재상고하지 않으면서 이 판결은 지난 13일 확정됐습니다.
A씨는 2000년 남편과 이혼한 뒤 친권을 행사하지 않았고, 아들과의 교류도 없었습니다. 때문에 세월호 사고 뒤 4·16세월호참사특별조사위원회(사참위)의 연락을 받기 전까지 7년 간 아들이 사망한 사실을 모르고 있었습니다.
2021년 1월, A씨는 국민성금 수령을 안내를 위한 사참위 관계자의 전화를 받고 아들의 사망 소식을 알게 됐습니다. 소식을 접한 A씨는 "아들이 단원고를 다녔었냐"며 오열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그 뒤 2021년 3월 국가를 상대로 4억원의 손해배상을 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1심은 A씨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참사 당시 공무원들이 고의 또는 과실로 위법행위를 저질렀다고 볼 수 없고, 위법행위가 있었더라도 이미 소멸시효가 완료돼 A씨에게는 배상을 받을 권리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대법원이 3000만원의 위자료 부분에 대해서는 "국가배상법 상 소멸시효가 완료됐다고 봐야한다"며 파기환송 결정을 내렸고, 고등법원의 판단을 다시 받게 됐습니다. 소멸시효가 문제된 3000만원 부분을 제외한 3억 7000여만원의 배상금 지급 판결이 소송 제기 3년 여만에 확정됐습니다.
〈사진=JTBC〉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고법 민사17-3부(부장판사 오영준 한규현 차문호)는 지난달 28일 세월호 참사 단원고 희생자의 친모 A씨가 국가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청구 파기환송심에서 원고 일부 승소로 판결했습니다. 국가와 A씨가 모두 재상고하지 않으면서 이 판결은 지난 13일 확정됐습니다.
A씨는 2000년 남편과 이혼한 뒤 친권을 행사하지 않았고, 아들과의 교류도 없었습니다. 때문에 세월호 사고 뒤 4·16세월호참사특별조사위원회(사참위)의 연락을 받기 전까지 7년 간 아들이 사망한 사실을 모르고 있었습니다.
2021년 1월, A씨는 국민성금 수령을 안내를 위한 사참위 관계자의 전화를 받고 아들의 사망 소식을 알게 됐습니다. 소식을 접한 A씨는 "아들이 단원고를 다녔었냐"며 오열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그 뒤 2021년 3월 국가를 상대로 4억원의 손해배상을 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1심은 A씨의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참사 당시 공무원들이 고의 또는 과실로 위법행위를 저질렀다고 볼 수 없고, 위법행위가 있었더라도 이미 소멸시효가 완료돼 A씨에게는 배상을 받을 권리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2심은 이 판단을 뒤집고 국가의 배상책임 4억원을 모두 인정했습니다. 2심 재판부는 "A씨가 아들의 사망을 안 날로부터 3년 이내에 소송을 제기했으므로 소멸시효는 완성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대법원이 3000만원의 위자료 부분에 대해서는 "국가배상법 상 소멸시효가 완료됐다고 봐야한다"며 파기환송 결정을 내렸고, 고등법원의 판단을 다시 받게 됐습니다. 소멸시효가 문제된 3000만원 부분을 제외한 3억 7000여만원의 배상금 지급 판결이 소송 제기 3년 여만에 확정됐습니다.
조해언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