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모두가 오를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으니 가격은 반대로 갈 것이다."
반감기를 앞두고 가격 상승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는 비트코인에 대한 경계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 투자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이 같은 언급은 최근 가상자산 업계에서 남다른 투자 안목을 제시하는 것으로 유명한 아서 헤이스가 자신의 블로그에 남긴 글이다. 헤이스는 2020년 전 세계 비트코인 거래량 1위를 차지했던 코인거래소 비트멕스의 공동 창립자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그는 "투자자들이 공통적으로 비트코인에 대해 낙관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데 반감기 직전 또는 직후에는 오히려 가격 하락 움직임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비트코인 공급량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반감기가 열흘 앞으로 다가오면서 비트코인 가격 향방을 두고 다양한 의견이 나온다. 반감기 이전에 이미 가격이 크게 오른 만큼 반감기 전후로 가격이 약세를 보일 수 있다는 분석이 일단 우세하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상장 효과와 공급 축소 여파가 맞물려 과거와 동일하게 가격이 가파르게 오를 수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9일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이날 오전 9시 기준으로 지난 2일 이후 일주일 만에 개당 1억원을 다시 넘었다. 이더리움과 리플 등 주요 알트코인도 각각 6.96%, 3.42% 오르며 좋은 흐름을 보였다.
이날 비트코인의 가격 상승은 오는 19일로 예상되는 반감기가 임박했기 때문이다. 현재 하루 약 1058.4개가 채굴되는 비트코인은 반감기 이후에는 하루 450개 정도가 채굴될 예정이다. 반감기는 대략 4년에 한 번씩 발생한다. 통상 반감기엔 수요 대비 공급이 줄어들면서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코인업계에서는 "과거에 올랐기 때문에 또 오를 것"이라는 낙관론이 최대 호재라는 것이다.
실제 올해도 반감기를 두고 가상자산시장 거래량이 크게 늘었다. 가상자산 분석업체 더블록에 따르면 전 세계 코인거래소의 지난달 거래량은 2조4800억달러로 지난 2월(1조1700억달러)보다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업비트만 해도 3월 거래량이 2214억달러로, 전달 813억달러 대비 3배 가까이 늘었다. 그러나 이번 반감기 직후에는 가격이 하락할 수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반감기를 앞두고 비트코인 가격이 선반영됐다는 인식이 강해서다. 과거 비트코인이 반감기 이후 장기적으로 가격이 크게 상승했던 것과는 다른 견해다.
이는 단기적으로는 반감기 이후 가격이 꼭 상승했던 건 아니기 때문이다. 반감기 100일 전후 가격 변화를 비교해보면 반감기 전 비트코인 가격이 크게 상승했던 2016년 7월은 반감기 이후 100일간 오히려 3.7% 하락했다.
반대로 반감기 전 100일간 가격이 5.2% 하락했던 2020년 5월의 경우 반감기 이후 31.5% 상승했다. 오는 19일로 예상되는 이번 반감기는 9일 오전 9시 가격인 7만1280달러를 기준으로 봐도 이미 100일 전과 비교해 52.8% 올랐다. 물론 표본이 적어서 이를 통해 경향성을 예측하긴 어렵지만 이번에는 반감기 이전부터 가격 상승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과도하게 형성됐다는 사실을 부정하긴 어렵다.
그럼에도 비트코인 현물 ETF 효과에 반감기가 겹쳐지며 공급 쇼크에 따른 급등이 나타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지난 한 달간 채굴된 비트코인은 약 2만7000개이고, 현물 비트코인 ETF에 유입된 비트코인은 4만9400개에 달한다. 반감기 이후에는 공급된 비트코인이 절반으로 줄어든다. 최근 비트코인의 가격 급등을 ETF발 수요가 견인한 만큼 향후 공급이 절반으로 줄어들면 가격 상승은 더 가파르게 나타날 수 있다. 브래드 갈링하우스 리플 최고경영자는 "반감기로 공급이 줄어드는 반면, 현물 ETF로 기관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면서 "올해 가상자산 시가총액이 86% 증가해 5조달러를 넘어설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