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조윤형 기자 = 나토가 끊임없이 러시아를 압박하고 있는 가운데, 크렘린궁은 국경을 향해 나토의 군사적 움직임이 계속된다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4일(이하 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러시아는 최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가 이미 우크라이나 전쟁에 개입해 러시아와 직접 대치 중이라고 밝혔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사실상 러시아와 나토의 관계는 직접적인 대치 수준으로 넘어갔다"며 "나토 자체와 나토에 속한 국가들은 이미 우크라이나 주변 분쟁에 관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나토는 우리 국경을 향해 계속 움직이고 있다"라며 "그들의 군사 인프라 또한 우리 국경 쪽으로 확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나토는 러시아의 침략에 맞서 싸우는 우크라이나를 돕고 있다며 첨단 무기와 훈련, 정보 등을 제공했다고 전한 바. 이 때문에 러시아는 나토가 사실상 '분쟁의 당사자'가 됐음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러시아 고위 관료들은 나토 창설 75주년이 되는 이날 나토에 대립각을 세우며 위협적인 경고 메시지를 연달아 내놨다.
알렉산드르 그루시코 러시아 외무부 차관은 리아노보스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나토 회원국 중 한두 곳이라도 모험적으로 활동한다면 우크라이나의 위기는 지리적 경계를 넘어 완전히 다른 규모로 증폭될 수 있다"고 꼬집었다.
또 우크라이나에 파병할 수 있다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발언을 지적하며 "서방 국가들이 긴장 고조의 길을 따라갈 준비가 돼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그루시코 차관은 "나토가 러시아와 군사적으로 충돌할 준비를 하는지는 나토에 직접 물어봐야 한다"면서도 "우리(러시아)는 그럴 의도가 없다"고 일축했다.
조태열 외교장관이 4일 (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인도-태평양 국가와 나토 위원회 회의 중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 등 참석 장관들과 포즈를 취하고 있다. 2024. 4. 5 ⓒ AFP=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의소리(VOA)에 따르면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나토 외교장관회의 이튿날인 4일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무장관은 "지금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살상 무기를 지원할 상황이라고 보느냐"라는 질문에 "그렇다. 이제 때가 됐다(It's time)"고 답변했다.
그는 지난달 외신 기자들과의 온라인 브리핑에서도 북한이 러시아에 군사 지원하는 것을 언급하며 "한국이 패트리엇을 제공하고 그를 위한 방법을 찾아 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은 이날 쿨레바 장관의 '한국 살상 무기 지원' 관련 발언에 동의하느냐는 물음에 "인도·태평양 파트너국의 지원 종류에 대해 너무 구체적으로 언급하진 않겠다"고 했다.
다만 아시아·태평양 4개 파트너국 중 하나인 호주가 우크라이나에 장갑차를 지원한 점을 사례로 들면서 "어떤 종류의 지원이든 환영한다"고 역설했다.
북한과 이란이 러시아에 무기와 탄약을 건네고, 러시아로부터 미사일 및 핵 관련 기술을 받는 만큼 유럽과 아시아의 안보가 연결돼 있다고 강조한 셈이다. 또 이번 나토 외교장관회의에 초청된 한국과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인도태평양 4개국과의 추가 협력도 기대했다.
우리나라 외교부는 이와 관련해 "우크라이나 전황을 종합 검토하고 인도적으로 지원하고 있다"면서도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방침에는 변함없다"며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한편 나토는 지난 1949년 4월 '워싱턴 조약'으로 불리는 북대서양조약에 총 12개국이 서명하면서 출범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안보 불안이 커진 핀란드와 스웨덴은 오랜 군사 중립 노선을 버리고 나토에 합류, 나토는 창설 75년 만에 32개국으로 늘어 몸집을 세 배 가까이 키웠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yoonzz@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