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조국혁신당 5일 부산 강서구 명지1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사전투표를 한 뒤 포즈를 취하고 있다. 조국혁신당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는 5일 부산 강서구 명지1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사전투표를 했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이 앞서 투표한 장소다. 조 대표는 투표 후 기자들에게 “이번 4·10 총선의 성격이 무엇인지, 조국혁신당이 총선을 통해 이루려고 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제가 이 장소를 택했다는 것을 통해서 보여드리고 싶었다”고 말했다.
조 대표는 당초 오는 6일 오전 부산 동구 초량2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사전투표를 할 예정이었다. 윤 대통령 사전투표가 보도돼 장소가 알려지자 날짜와 장소를 바꿨다. 조 대표가 의도적으로 윤 대통령과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사전투표를 한 것이다.
조 대표는 “전국에서 많은 지지를 해주셔서 감사한 마음이지만 계속 머리 낮추고 겸손한 마음으로 다지고 또 다지고 더 낮은 자세로 나아가려고 한다”면서 “조금 더 (의석을) 얻게 된다면 그 마음 잊지 않고 더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조국혁신당을 지지해주는 분들은 진보나 보수, 영남과 호남 구분 없이 정권의 무능함에 분노하고 실망해 ‘이대론 안 된다’고 판단해 투표로 정권을 심판하자고 결정한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조 대표는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자신을 향해 ‘정치를 희화화한다’는 취지로 비판한 데 대해 “(한 위원장) 본인이 거울보고 하면 좋겠다”고 반박했다. ‘사적 복수를 명분으로 삼고 있다’는 취지의 한 위원장 발언에 대해선 “중요한 건 정치는 복수의 도구가 아니다. 말도 안되는 얘기”라며 “윤석열 정권의 심판이 조국 개인의 복수겠느냐. 그렇다고 한다면 현재 조국혁신당에 대한 많은 국민 지지가 있는데 그분들이 그렇게 지지할 리 만무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만약 조국혁신당의 최근 지지율 상승을 조국의 사적 복수로 폄훼하는 건 국민을 우습게 보는 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조 대표는 “저는 4·10 총선 이후에는 (한 위원장의) 얼굴을 보지 못할 것 같은데 제가 조국혁신당에서 1호 법안으로 한동훈 특검법을 제출하지 않았느냐”며 “빨리 수사 대비하시는 게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그는 “조국혁신당이 검찰개혁 공약 중 하나로 검사장 직선제를 공약했다. 한 위원장이 4·10 총선 이후 계획이 뭔지 모르겠으나 저는 한 위원장이 이번 총선에서 보여온 여러 가지 막말, 색깔론을 봤을 때 조국혁신당이 도입하려 하는 검사장 직선제에 출마해보셔도 좋을 것 같은데 심판받을 것 같다”며 “제 말은 검사장 직선제 출마하셔도 떨어질 거라는 취지”라고 말했다.
조 대표는 앞서 경남 양산 유세 과정에서 기자들에게 “대파 한 단이 875원이라고 생각하고 대파 한 단이 875원이 합리적 가격이라고 생각하는 대통령을 우리가 3년 더 모셔야 하느냐”며 “그러다가는 대한민국의 밑둥치가 뽑힐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조 대표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투표소 내부에 대파를 들고 가지 못하도록 한 조치에 대해서 “그럼 실파 들고 가면 되느냐. 쪽파 들고 가면 되느냐”며 “대파 한 단을 들고 가는 행위가 정치적이라는 선관위의 결정은 상식에 반하는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조 대표는 사전투표에 앞서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글을 올려 “‘대파’를 두려워하는 세력, ‘대파’ 당할 것이다”고 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투표소에 대파를 반입하지 못하도록 한 조치를 겨냥한 발언이다.
김수경 대통령실 대변인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부산 강서구 명지1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사전투표를 마쳤다. 성태윤 정책실장, 이도운 홍보수석, 박춘섭 경제수석, 장상윤 사회수석 등 대통령실 참모들이 동행했다. 김건희 여사는 동행하지 않았다.
박순봉 기자 gabgu@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온전히 나로 살 수 있는 ‘자기만의 방’, ‘방꾸’하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