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에 인공지능 접목시켜 시민 편의 높여
AI 기술 활용한 시민 맞춤형 서비스 등 확대
지자체 첫 AI 활성화 전략…3년간 2064억 투입
[서울=뉴시스]서울시는 2일 AI를 활용해 행정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서울시 인공지능(AI) 행정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지자체 단위 최초의 AI 활성화 전략으로, 오는 2026년까지 3년간 총 2064억원을 투입해 세계 최고의 인공지능 매력도시를 조성하겠다는 것이 목표다. (사진=서울시 제공). 2024.04.02. photo@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시스] 조현아 기자 = 서울시가 인공지능(AI)을 접목한 행정 혁신으로 시민 편의와 공무원 업무 효율을 동시에 높인다. 행정 영역에 AI를 활용해 더 많은 시민에게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계획이다.
시는 2일 AI를 활용해 행정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서울시 인공지능(AI) 행정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지자체 단위 최초의 AI 활성화 전략으로, 오는 2026년까지 3년간 총 2064억원을 투입해 세계 최고의 인공지능 매력도시를 조성하겠다는 것이 목표다.
우선 '약자와의 동행', '시민 안전망 조성' 등의 분야에서 추진하고 있는 28개의 AI 기반 사업을 지속·확대하고, 10개의 신규 사업을 추진한다.
혼자 사는 노인에게 AI가 주기적으로 전화를 걸고, 움직임 등을 감지해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안부 확인 서비스'를 확대하고, 신고 음성을 분석해 긴급도와 위험 징후를 파악하는 AI기반 '119 종합상황 관리체계'도 구축한다. '온라인 불법·유해 콘텐츠 AI 자동검출 시스템'도 개발한다.
AI 기술을 활용한 시민 맞춤형 서비스도 확대한다. '120 스마트 인공지능 상담센터'를 구축하고, 행정데이터 등 6000여 종을 분석해 맞춤 정보를 제공하는 '생성형 AI기반 공공데이터 챗봇'도 개발한다. 언어장벽 없이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실시간 동시대화 시스템'과 서울관광 '생성형 다국어 챗봇' 등도 확대한다.
지능형 폐쇄회로(CC)TV, 드론을 활용한 스마트 안전망도 구축한다. 2026년까지 안전 취약지역에 설치된 모든 CCTV를 지능형 시스템으로 전환한다. 드론과 열화상 CCTV를 활용한 'AI 기반 산불감시 시스템', 교통 신호를 최적화해 혼잡을 막는 'AI 기반 스마트교차로' 사업 등도 추진하낟.
공무원들이 AI를 업무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도 조성한다. 올 한해 공무원 1300여명을 대상으로 '생성형 AI 활용한 업무 생산성 향상 교육'을 실시한다. 생성형 AI 질문 능력을 높이기 위한 '프롬프트 학습 동아리'도 운영해 구성원들의 역량 강화도 돕는다.
아울러 서울시 자체 생성형 AI 모델을 개발하고 단순·반복 업무에는 업무자동화(RPA, Robotic Process Automation)를 적용한다. 사이버 공격 탐지·고위험 IP 차단 등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한 'AI보안관제 플랫폼 운영' 등 개인정보 보호에도 힘쓴다.
시는 실·국 단위로 분절된 사업의 전문성과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디지털정책관'을 컨트롤타워로 운영하고, 인공지능 전문기관인 서울디지털재단을 'AI기술지원센터(가칭)'로 지정해 기술자문, 컨설팅 등을 실시한다. 향후 생성형 AI, CCTV 객체 탐지, AI 알고리즘 패턴인식 등 다양한 AI 기술을 행정 서비스에 적극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박진영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은 "올해를 AI 행정 서비스 도입 원년이라는 각오로 급속도로 발전하는 AI 기술과 사회변화에 발맞춰 행정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시민의 일상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 것"이라며 "성공적으로 운영 중인 AI 행정 서비스가 다른 지자체와 민간으로도 확산해 더 많은 사람들이 편의와 혜택을 누리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acho@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