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물가와 GDP

사과 88.2%, 배 87.8% 가격 폭등…3월 소비자물가 3.1%↑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JTBC

사과 가격이 1년 전보다 88.2%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째 3%대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과일값이 고공행진 했는데, 사과와 배는 관련 통계 조사가 시작된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통계청이 오늘(2일)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3.1% 상승한 113.94(2020년=100)로 조사됐습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 2.8%로 낮아졌지만, 2월에 3.1%로 올라선 뒤 두 달째 3%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물가 오름세를 이끈 건 농축수산물이었습니다. 농축수산물은 전년 동월 대비 11.7% 가격이 올랐습니다. 2년 11개월만의 최대치입니다.

농산물은 1년 전보다 20.5% 올라 전달(20.9%)에 이어 두 달 연속 20%대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사과 가격이 88.2% 상승해 전달(71.0%)보다 가격 오름폭이 더 커졌습니다. 이는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0년 1월 이후 역대 최대 상승 폭입니다.

배도 87.8% 올라 조사가 시작된 1975년 1월 이후 역대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사과와 배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른 건 생산량이 줄었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봄철 냉해와 여름철 잦은 호우 영향으로 사과와 배 생산량은 전년 대비 각각 30.3%, 26.8% 줄었습니다.

귤 가격(68.4%)도 큰 폭으로 오르면서 신선과실은 전년보다 40.9%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지난 2월(41.2%)에 이어 두 달째 40%대 상승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토마토(36.1%), 파(23.4%) 가격 급등으로 채소류는 10.9% 상승했습니다.

국제유가 불안 때문에 석유류도 1.2% 상승했습니다. 석유류가 오른 건 지난해 1월 이후 14개월 만입니다.

농산물, 석유류 등 경제 상황에 따라 물가변동이 심한 품목을 제외하고 산출해 장기적인 추세를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2.4% 증가했습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3.8% 상승했습니다.



이지현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