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지역의료 토론회 “소규모 병원 통합해 대형병원 만들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역의료 토론회 “종합병원 최소병상 기준 충족 지방의료원 7∼8곳 불과”

“노동시장 실패 결과…지역에 전문의가 일하고 싶은 일자리 만들어야”

헤럴드경제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에서 한 의료 관계자가 휴식을 취하고 있다.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안효정 기자] 지역의 필수의료를 강화하기 위해 지역 내 소규모 병원을 통합해 대형 병원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문가들은 지역병원이 우수한 의사 인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인력 배치 방법도 강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건복지부는 29일 오후 4시 서울 중구 LW 컨벤션에서 ‘지역의료 강화방안 토론회’를 열었다.

발제를 맡은 권용진 서울대병원 공공진료센터 교수는 “비수도권에서 근무하려는 미래 의사 수가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의사뿐만 아니라 의사와 한 팀을 이뤄서 일하는 간호사 등 보건의료 직역 전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민간 공급이 감소하면 정부가 개입해야 하는데, 어떤 방식으로 개입할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국민이 원하는 의료서비스의 수준이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권 교수는 지역에도 큰 병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200병상짜리 소규모 병원 5개가 각각 운영되면 망할 가능성이 높지만, 정부가 이들 병원을 인수해서 대규모 병원 1개로 통합하면 제대로 운영할 수 있다”며 “지역에서 세부 과목 전문의들이 일할 수 있는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권 교수는 응급의료의 지역 자치를 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고도 말했다.

그는 “응급의료는 특성상 지역 내에서 해결이 돼야 한다”며 “응급의료 지역 자치를 위해 거점병원에 재정지원을 하고 의료인력 채용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고 했다.

또 “전문의들이 지역에서도 충분한 진료를 통해 실력을 보존할 수 있도록 최소 시술량에 기반한 의사 인력 공급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발제자인 조승연 인천광역시의료원장 겸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장은 지역의료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지방의료원 등 공공병원을 혁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 회장은 “종합병원의 최소병상수는 300병상인데 지방의료원 중 300병상이 넘는 곳은 7~8곳밖에 되지 않고, 그나마도 정신병동과 요양병원을 제외하면 3~4곳에 불과할 정도로 규모가 아주 작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소 5명의 전문의가 있어야 24시간 응급실을 지킬 수 있다는 점 등을 고려했을 때 전문의가 65명은 있어야 지역에서 책임의료기관의 역할을 할 수 있는데, 이를 충족하는 곳은 서울의료원뿐”이라며 “종합병원은커녕 일반병원의 기능도 유지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했다.

그는 “병원은 인력 싸움인데 지방의료원의 급여가 적지 않은 데도 지역이라는 이유로 의사들이 오지 않는다”며 “의대 정원을 늘린다지만 그 효과가 나타나려면 10~15년은 걸린다. 단기적으로 지역의료원에 인력을 배치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방에 의사가 부족한 현상을 노동시장 실패의 관점에서 봐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박형근 고려대 보건대 교수는 “신규 진입 전문의가 부족하고, 전문의 유출과 고령화 문제도 있다”며 “지역·필수의료 전문의 부족 현상을 노동시장이 실패한 결과로 의료정책적 시각만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역 출신 의대생 숫자와 지방대 병원의 필수과목 전공의 정원을 늘리고 확보율도 높여야 한다”며 “전공의 수련 교육과 보상 체계를 강화해야 전문의 중심의 지역의료 강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국일 복지부 필수의료지원관은 “지역 필수의료를 노동시장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은 타당하다”라며 “지역 간 의료격차 해소를 위해 지자체와 지방국립대의 역할을 강화하고, 중증응급의료와 최종치료의 완결성을 높여 필수의료 공백 대응해야겠다”고 했다.

an@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