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총선 이모저모

총선 앞두고 쏟아지는 여론조사, 실제 적중률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4·10 총선을 보름 앞둔 26일, 수많은 여론조사가 정치권에 쏟아지고 있다. 선거가 가까워지면서 여론조사 업체에서 걸려오는 전화만 하루에 몇 통이 넘으면서 '공해'라는 비판도 나온다. 그러나 정당과 각 후보 캠프가 선거 판세를 짐작하기 위해서는 여론조사가 필요한 것은 사실이다.

총선 100일전인 올해 1월 1일부터 현재까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를 통해 공표된 4·10 선거 관련 여론조사는 총 1019건(최초공표일 기준)이다. 이 중 507건은 3월 1일부터 26일까지 발표된 여론조사다. 한 달 사이 500여건의 여론조사가 시행된 셈이다.

그렇다면 그동안 선거 여론조사와 실제 결과는 얼마나 차이가 났을까. <메트로경제신문> 이 2016년 20대 총선과 2020년 21대 총선의 사전 여론조사와 실제 표심을 비교해봤다.

일단 2016년 20대 총선은 다자구도였다.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이 여당이었고, 더불어민주당과 민주당에서 탈당한 이들이 만든 국민의당, 그리고 정의당 등이 주요 정당이었다. 특히 민주당은 탈당한 이들이 상당한 수였기 때문에, 텃밭인 호남에서 의석을 상당히 많이 잃어 총선에서 패배할 것이라는 분위기가 팽배했다.

당시 발표된 여론조사 정당지지도 역시 이 같은 예측에 한몫했다. 당시 한국갤럽 여론조사 기록을 찾아보면 새누리당은 정당지지율이 40%에 육박했고, 민주당은 20%초반을 기록했다. 국민의당은 2016년 3월 말 10%대를 기록하면서 점점 상승세를 탔다. 리얼미터는 새누리당이 30~40대를 오르내리더니, 3월 중순부터 하락세를 탔다. 그러나 민주당은 한 번도 새누리당을 앞지르지 못했다.

지역구 여론조사도 일부 지역은 민주당 후보가 오차범위 밖의 차이를 보이는 등 크게 밀리는 결과가 많았다. 여론조사대로였다면 20대 국회에 입성한 이들의 면면이 크게 달라졌을 정도였다. 다만 정권심판론은 50%대를 유지하며, 20대 총선이 정권심판 선거 성격이 있었음을 보여줬다.

특히 당시 서울 종로구에 출마했던 정세균 민주당 후보는 2016년 3월 24일 한 여론조사를 인용하며 "KBS 여론조사 오세훈 45.8%, 제가 28.5%. 17.3%포인트 격차입니다. 이 숫자를 기억해 주십시오. 왜곡인지 아닌지 증명해 보이겠습니다"라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적었는데, 당시 상황을 지켜본 한 정치권 관계자는 "당시 여론조사와 바닥민심의 괴리가 있는 것은 느꼈지만, 명백한 수치의 차이 앞에서 과연 정세균 전 총리의 공언이 현실화될 수 있을지 의문을 가진 이들이 많았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하지만 투표함이 열리고, 모두의 예상을 뒤엎는 결과가 나왔다. '새누리당 과반, 민주당 개헌저지선 확보 실패'라는 예측이 공공연히 나왔던 선거였음에도 결과는 민주당이 123석으로 1당을 차지하고, 새누리당은 122석을 얻었다. 두 당의 의석 차이는 1석이었다. 국민의당은 38석으로 약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2020년 21대 총선은 민주당이 여당,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이 야당이었다. 문재인 정부 중반에 접어들었고, 코로나19 등으로 정국이 어수선했지만 정권심판(여당심판)론은 40%대를 기록했다. 일부 조사에서는 정권심판론이 30%대 초반이 나오기도 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의 지지도가 높은 상황이라, 정권안정론이 더 힘을 받은 것이다 .

한국갤럽 여론조사 역시 2020년 1월부터 민주당이 꾸준히 우위를 점했다. 1월부터 세달간 단 한번도 미래통합당은 25% 이상의 지지율을 받지 못했다. 적게는 13%포인트, 많게는 22%포인트의 격차를 보였다. 리얼미터 역시 민주당은 30%대 후반에서 40%대 초반을 유지했고, 미래통합당은 30대 초중반을 오르내렸지만 떨어지는 추세였다. 그리고 실제로 당시 총선에서 민주당은 지역구에서 163석, 비례정당인 더불어시민당은 17석을 얻어 총 180석이라는 유례없는 승리를 거둔다.

한 야당 관계자는 "안심번호 추출이 가능해진 것은 2017년 2월부터라, 20대 총선 당시 다수의 여론조사는 유선 비중이 아주 높았다. 그러다보니 샘플의 왜곡이 생길 수밖에 없었던 것"이라며 "20대 총선 당시 여론조사 중에선 유선전화 비중이 100%였던 것도 절반 이상인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21대 총선 당시 여론조사는 안심번호 추출을 사용해 유·무선 비중이 이전과는 달라지면서 여론조사가 민심을 조금 더 반영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그는 22대 총선 여론조사와 관련해 "무선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여론조사라는 도구의 엄밀성과 정확성이 크게 향상된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그 여론조사를 어떻게 설계하고 적용하느냐에 따라 우리가 보는 민심은 계속 출렁인다는 것을 확인한 계기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이어 "결국 중요한 건 여론조사라는 도구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는 거다. 질문을 만드는 자, 여론조사를 해석하는 자 모두를 포함해서 말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