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앞두고 유가 치솟자 다급해진 미 백악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9일 (현지시간) 애리조나주 피닉스에서 열린 선거 집회에 참석해 연설 중 고개를 숙이고 있다./AFPBBNews=뉴스1 /사진=(피닉스 AFP=뉴스1) 우동명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국이 러시아 원유 정제소에 대한 공습을 중단하라고 우크라이나에 촉구했다. 11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국제유가를 불안하게 한다는 이유에서다.
━
백악관, 선거 앞두고 유가 치솟자 "공습 그만"
━
21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즈(FT)는 익명 소식통 3명으로부터 교차 확인한 결과 미국 수뇌부가 우크라이나 국가보안국(SBU), 국방부 정보국(GUR) 등 정보기관에 이 같은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두 기관은 러시아 기반시설을 겨냥한 드론공습을 주도한 곳이다.
FT가 접촉한 한 익명 소식통은 우크라이나가 국경 넘어 러시아 내륙에 위치한 정제소, 저장고 등 원유 관련 시설을 계속 공습한 데 대해 백악관의 반감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11월 대선을 앞두고 국제유가를 흔들고 있다는 것. 국제유가의 기준이 되는 브렌트유는 올해 초 배럴당 78.1달러였으나 지난 21일 86달러까지 치솟았다.
FT는 우크라 정보당국자를 인용, 러시아 침공 이후 러시아 원유시설을 최소 12회 공습했으며 이중 9회는 올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목적은 러시아 군의 원유 공급을 끊고 원유 수출을 통한 군자금 확보를 차단하겠다는 것.
우크라이나는 국경에서 1000km 떨어진 목표물까지 공습 가능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미 중앙정보국(CIA) 분석관 출신 헬리마 크로프트 RBC 애널리스트는 "우크라이나는 러시아 서부 내륙에 위치한 원유 수출시설 대부분을 공습할 능력이 있음을 과시하고 있다"고 했다.
우크라이나가 원유시설 공격을 멈추지 않는다면 러시아가 송유관을 걸어잠그는 식으로 보복할 수 있다고 백악관은 보고 있다. 2022년 8월 러시아는 세계 원유 수송량의 1%를 담당하는 CPC 송유관을 걸어잠근 바 있다. 시설 보수가 명분이었으나, 서방이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보복 조치로 러시아 제재를 결정한 것에 대한 보복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었다. 러시아가 재차 CPC 송유관 통제에 나선다면 엑손모빌, 셰브론 등 미국 기업이 피해를 볼 수 있다.
백악관 에너지 고문 출신 밥 맥널리 래피던에너지그룹 대표는 "선거철에 유가 상승만큼 미국 대통령을 대경실색하게 하는 것은 없다"고 했다.
━
서방 러시아 제재 못미더운 우크라
━
FT는 우크라이나가 서방의 러시아 원유 제재를 탐탁지 않게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인도는 러시아산 원유를 값싸게 사들여 항공유, 디젤로 정제한 뒤 유럽에 되팔아 막대한 이득을 챙겼다. 이를 알면서도 유럽이 인도 정제유를 사다 쓴 것은 러시아 제재 의지가 없기 때문이라는 게 우크라이나 시각이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지난 2월 러시아 침공 2주년 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로이터=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블룸버그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4월 기준 인도에 배송된 러시아산 원유 수송량은 일 170만배럴로, 사우디(일 67만1000배럴)와 이라크(일 81만2000배럴) 물량을 합친 것보다 많았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인 2022년 3월에만 해도 인도가 들여온 러시아 원유는 일 6만9000배럴이었다. 전쟁 1년 사이 러시아산 원유 수입량이 24배 넘게 폭증한 것.
같은달 인도는 사우디아라비아를 제치고 유럽에 가장 많은 정제유를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인도가 유럽에 수출한 정제유 물량은 이달 기준 하루 36만5000배럴로, 사우디가 수출한 물량(일 34만4700배럴)을 넘어섰다.
인도 매체 힌두스탄타임즈에 따르면 인도 전체 수입량 중 러시아산 원유가 차지하는 비율은 한때 40%까지 올랐다가 최근 30% 수준까지 하락했다. 하르딥 싱 푸리 인도 석유장관은 원유 수입 창구를 다양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그는 "인도 하루 원유 소비량이 500만 배럴인데 150만 배럴을 러시아에서 수입하고 있다"며 "러시아가 할인 혜택을 주지 않으면 굳이 구매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김종훈 기자 ninachum24@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