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치사율이 30%에 이르는 감염병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사진=AF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최근 일본에서 치명률 30%에 이르는 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STSS)이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질병관리청이 "국내 유행 가능성은 낮을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의심증상이 있으면 의료기관을 방문해 조기 진단을 받을 것을 권고했습니다.
질병청은 오늘(22일) "최근 일본의 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STSS) 환자 증가와 관련해 국내외 발생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STSS는 A군 연쇄상구균이라는 원인 병원체에 감염됐을 때 걸릴 수 있는 질환입니다.
초기에는 인플루엔자와 비슷하게 경미한 호흡기 증상을 보이지만, 감염이 진행되면서 고열, 발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중증으로 진행되면 괴사성 근막염, 다발성 장기부전 등으로 악화할 수 있습니다.
주로 점막이나 상처 부위 등을 통한 접촉 때문에 전파되는데, 비말을 통한 호흡기 전파도 가능합니다.
질병청은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 의료기관을 방문해 조기 진단과 신속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며 "현재까지 개발된 백신은 없으며 조기진단을 통한 항생제 치료가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일본 국립감염병연구소(NIID)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 STSS 환자는 941명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습니다. 그런데 올해 들어서는 2월 말까지 신고된 환자 수가 414명이었습니다.
감염 환자 414명 중 90명이 사망하면서 치명률은 21.7%로 나타났습니다. 50세 이상 연령에서는 24.0%였습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STSS의 치명률을 약 30~70%로 보고 있습니다.
다만 질병청은 STSS가 국내에 유행할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습니다.
질병청은 "사람 간 접촉을 통한 전파는 드물다"며 "동일원인균(A군 연쇄상구균)으로 감염될 수 있는 성홍열의 국내 발생이 코로나19 이전 대비 매우 낮은 점 등을 고려할 때 국내 유행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평가된다"고 했습니다.
STSS는 법정 감염병이아니지만 정부는 성홍열을 2급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해 감시하고 있습니다. 성홍열로 인한 중증·합병증·사망사례에 대해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있는 겁니다.
질병청에 따르면 지난해 성홍열 환자는 810명이었습니다. 코로나19 이전이었던 2018년(1만 5777명), 2019년(7562명) 등과 비교하면 매우 낮은 수치입니다.
2000년 이후 성홍열 감염으로 인한 합병증이 보고된 사례는 총 4건으로, 이 중 STSS로 의심되는 사례는 2건이었습니다.
질병청은 기침 예절 실천과 올바른 손 씻기 생활화를 당부했습니다.
질병청은 "해외여행객들은 과도한 불안과 우려보다는 감염예방수칙을 준수해달라"며 "고위험군(65세 이상 고령층, 당뇨병 환자 등)의 경우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하게 의료기관에 방문해달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지현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