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의대 정원 확대

27년만에 의대 증원 최대 수혜자는 지방 국립대..충북대 정원 4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정부의 전국 의과대학별 정원 배정 결과 공개를 앞둔 20일 오전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사진=뉴스1 /사진=(서울=뉴스1) 박지혜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7년만에 의과대학 정원을 늘린 정부 정책의 가장 큰 수혜자는 지방 국립대였다. 현재보다 최소 1.4배에서 최대 4배까지 정원이 늘어났다. 전체 정원이 50명 미만인 비수도권 미니 의대도 대부분 2배 이상 증원이 이뤄졌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0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이같은 '2025학년도 의대 학생정원 배정결과'를 설명하면서 "의료개혁의 시작"이라고 강조한 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의료격차를 적극 해소하고 새로운 의료 생태계를 조성하는 계기로 삼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올해 전국 40개 의대 정원 3058명 가운데 13개 수도권 대학의 정원은 1035명(33.8%), 27개 비수도권 대학 정원은 2023명(66.2%)이다. 이번 증원분(2000명) 배분에 따라 전체 의대 정원(5058명) 중 수도권 의대는 1396명(27.6%)으로 이전보다 6.2%포인트(p) 줄었고, 그 만큼 비수도권 의대 정원이 72.4%(3662명)로 늘어났다.

무엇보다 몸집을 늘린 지방 거점국립대의 변화가 눈에 띈다. 실제로 27개 지방대 의대의 정원은 평균 91.5명이 증가했다. 대학별로 보면 거점국립대 9곳 중 충북대가 현 정원(49명)보다 151명이 늘어난 200명의 정원을 배정받았다. 무려 4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다. 여기에 △경상국립대(76명→200명) △전남대(125명→200명) △경북대(110명→200명) △충남대(110명→200명) △부산대(125명→200명) △전북대(142명→200명) 등도 모두 정원이 2배 안팎으로 늘었다. 지역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은 제주대(40명→100명)와 강원대(49명→132명)도 3배 가까이 증가했다.

비수도권 '미니 의대'도 100명대 수준으로 확대됐다. 현 정원이 40명인 단국대(천안)와 울산대는 120명, 건국대(충주)와 을지대는 100명, 대구가톨릭대는 80명으로 각각 늘어났다. 여기에 △가톨릭관동대(49명→100명) △동아대(49명→100명) △건양대(49명→100명)△을지대(40명→100명) △동국대분교(49명→120명) 등도 모두 2배 이상 증가했다. 아울러 △한림대(76명→100명) △연세대(원주)(93명→10명0) △인제대(93명→100명) △고신대(76명→100명) △원광대(93명→150명) △조선대(125명→150명) △순천향대(93명→150명) △계명대(76명→120명) △영남대(76→120) 등도 소폭 늘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의대가 없는 광역단체 전남은 지역 내 의견이 충분히 수렴되고 절차에 따라 신청이 이뤄지면 정부가 신속히 검토하여 추진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수도권의 경우 서울과 경인간 의대 정원 불균형과 의료여건 편차 극복에 신경을 썼다는 평가가 나온다. 경기 지역에 위치한 성균관대와 아주대는 40명에서 120명으로 정원이 3배 늘었고, 의학전문대학원(의전원)인 차의과대학도 기존보다 2배 증가한 80명을 배정받았다. 인천 지역의 인하대는 49명에서 120명으로 71명이, 가천대는 40명에서 130명으로 90명이 각각 증원됐다. 서울 8개 대학엔 추가 인원이 배정되지 않았다.

정부 관계자는 "의사의 근무지역 선택 시, 출신 지역·의대 졸업지역·전문의 수련지역이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도 의미 있게 검토했고 지역경험이 지역 근무를 선택하는데 중요한 고려사항이 되기 때문에 지역 거점대의 규모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서울은 인구 1000명당 의사 수가 3.61명으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3.7명)에 근접한데 반해, 경기 1.80명, 인천 1.89명으로 전국 평균인 2.23명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점을 고려했다"고 말했다.

유효송 기자 valid.song@mt.co.kr 김훈남 기자 hoo13@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