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락사→'추락 전 계엄군 구타로 심각한 상처' 확인
'숭고한 정신 잊지 않겠습니다' |
(광주=연합뉴스) 나보배 기자 = 1980년 5월 18일 새벽에 숨진 전북대생 이세종 열사가 5·18 민주화운동의 첫 희생자로 공식 인정됐다.
44년만이다.
13일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에 따르면 조사위는 최근 공개한 '5·18민주화운동 당시 사망 사건' 조사 결과 보고서에 이 열사를 첫 사망자로 명시했다.
조사위는 5·18민주화운동 기간 사망자 166명을 나열하면서 이 열사를 가장 먼저 기술했다.
1980년 5월 17일 농과대 2학년이던 이 열사는 전북대학교 학생회관에서 전두환 퇴진과 계엄 해제를 요구하며 농성 중이었다.
다음날 0시를 기해 신군부의 비상계엄이 확대되면서 제7공수여단 31대대는 전북대를 점령했고, 계엄군이 학생회관으로 진입하자 이 열사는 옥상으로 달아났다.
그러나 이 열사는 오전 1시 40∼50분 학생회관 바깥 바닥에 추락했고 숨진 채 발견됐다.
당시 군은 전투교육사령부에 이 열사가 도피를 위해 보안등에 매달려 있다가 추락한 사고로 보고했다.
하지만 조사위는 이 열사의 폭행 과정을 목격한 학생들의 진술과 1999년 국립 5·18민주묘지로 이장 당시 희생자의 두개골에 큰 구멍이 나 있다는 가족의 진술, 부검의 소견 등을 종합할 때 계엄군의 구타로 추락 전 이미 심각한 수준의 상처를 입었다고 판단했다.
당시 부검의는 조사위에 '두개골 골절 등 주요 사인 이외에도 상당한 타박상이 존재했는데, 이것은 옥상에서의 추락이라는 한 가지 이유로 나타날 수 없는 흔적이 분명하다'고 진술했다.
'5·18민주화운동 당시 사망 사건' 조사 보고서 |
이번 이 열사의 최초 희생자 인정은 광주 일원으로 한정됐던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의 조사 범위가 2021년 '광주 관련'으로 확대되면서 이뤄졌다.
그간 이 열사는 1998년 5·18 관련 유공자로 인정받아왔지만, 5·18 희생자로 규명된 것은 처음이다.
기존 첫 희생자로 알려졌던 김경철 씨는 광주와 전남지역에서 희생된 최초 사망자로 남게 됐다.
김상욱 5·18진상규명조사위 조사관은 "2021년 5·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진상규명법)이 개정되면서 5·18민주화운동의 공간적 범위가 확장됐다"며 "국가가 채택한 관련 보고서에 이 열사를 최초 희생자로 규명한 것이어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warm@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