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7 (일)

이슈 연금과 보험

국민들 정년연장 공감 … 68%는 "연금 수급연령도 올리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저고위)가 연령제 개편을 추진하는 것은 서로 다른 노인 기준에 고용·복지 부문에서 비효율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법정 정년은 60세지만 국민연금 수급 연령은 63~65세이며, 노인복지법상 노인 연령은 65세로 각기 다르다. 고령층을 바라보는 국민들 인식도 달라지고 있다. 보건복지부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민 절반 이상(52.7%)은 노년이 시작되는 나이대를 70세로 봤다. 내년 한국이 사상 처음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며 노인 인력을 끌어 쓸 필요성도 생겼다.

8일 매일경제가 통계청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경제활동을 하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지난해 362만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노인 경제활동 참여율(38.3%)도 역대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랐다.

연령제 개편 로드맵의 기초 자료인 이화여대 연령통합고령사회연구소의 '초고령사회 연령 통합적 기반 마련 기초연구' 보고서는 "다수 국민들이 연령별로 차별 없이 노동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소가 18세 이상 국민 153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에서 83.4%는 '초고령사회 진입으로 자기 삶에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93.6%는 나이나 정년에 상관없이 누구나 일할 수 있는 사회로 개편하는 것에 대해 찬성한다고 대답했다.

고령층에게 일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응답한 국민들은 인력 활용 방안으로 재고용 권장(38.1%), 정년제도 폐지(26.1%), 정년 연장(18.2%)을 꼽았다. 고령화 대응에 필요한 정책으로는 노년기 소득 보장(40.1%), 의료 보장(19.5%), 고용 지원(13.7%)이 거론됐다.

보고서는 "법적 정년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국민적 논의에 바탕을 둔 입법 과정과 전 세대 근로자, 기업 등 다양한 이해당사자들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며 "법적 정년조차 잘 이행되지 않고 있는 현실을 감안했을 때 우선 정년제도를 안착시키는 게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년 준수, 계속고용 활성화 순으로 단계적 로드맵이 마련돼야 한다는 뜻이다.

고령화에 따라 국민연금 수급 연령을 조정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연금 수급 연령 상향에 대해 응답자의 68.9%는 찬성 또는 조건부 찬성한다고 답변했다.

이승호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일단 정년까지 고용을 유지하면 인센티브를 주는 대응이 필요하며 정년 이후에는 국민연금 수급 연령까지 고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정환 기자 / 이윤식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