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청 진압 과정서 숨진 14명 중 5명 단발 총상
윤상원 열사 |
[헤럴드경제(광주)=서인주 기자] 계엄군으로부터 옛 전남도청을 사수하려다 숨진 '5·18 시민군 대변인' 윤상원 열사의 사망 경위가 43년 만에 밝혀졌다.
자상으로 잘못 알려진 사인은 총상으로 바로 잡혔고, 교전 중이 아니라 계엄군의 일방적 진압으로 사망했을 가능성도 제기됐다.
8일 5·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이하 조사위) 조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1980년 5월 27일 전남도청 안에서 숨진 윤 열사의 사인은 계엄군에 의한 '총상'으로 확인됐다.
당시 광주지방검찰청 검사가 작성한 검시 기록에는 복부에 자상을 입고 하악골 등에 화상에 입어 윤 열사가 사망한 것으로 기록돼 있다.
이 때문에 계엄군이 윤 열사를 사살한 뒤 시신을 훼손했다는 주장이 일기도 했다.
조사위는 당시 윤 열사 검안의·목격자 등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여 윤 열사의 사인은 총상이라는 사실을 규명했다.
조사위는 상무충정작전(도청 진압 작전) 과정에서 사망한 이들의 사인도 규명했다.
해당 작전으로 민간인 25명이 사망했는데, 이 중 24명(13명 단발·11명 다발)이 계엄군이 쏜 총에 맞아 숨졌다.
사망자 대다수는 머리·얼굴·흉부 등 상체 부위에 피격당해 숨졌으며, 자위권 발동 시 수칙인 하반신 사격 지침이 지켜지지 않았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조사위 관계자는 "사망자 총상의 흔적이 1개라는 사실은 시민군-계엄군 간 격렬한 교전이 전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계엄군의 압도적 화력에 의해 전남도청에 있던 시민군이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sij@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