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6일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 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77(2020=100)로 1년 전보다 3.1% 올랐다.
서울의 한 전통시장의 과일 판매대.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해 8∼12월 3%를 웃돌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월(2.8%) 2%대로 떨어졌지만, 한 달 만에 다시 3%대로 올라섰다.
3%대 물가에는 농산물 영향이 컸다. 농산물 물가가 20.9% 올라 전체 물가를 0.80%포인트 끌어올렸다. 여기에 국제유가 상승 영향으로 석유류 물가 하락 폭도 전월(-5.0%)보다 축소된 1.5%에 그쳤다. 전체 물가 기여도도 1월 -0.21%포인트에서 -0.06%포인트로 줄면서 상대적으로 물가를 끌어올리는 역할을 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3.7% 올랐다.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10월(4.5%) 정점을 찍은 뒤 올해 1월(3.4%)까지 상승 폭이 둔화했지만 넉 달 만에 다시 상승 폭이 커졌다.
특히 신선식품지수는 신선과실이 41.2% 오른 영향으로 20.0% 급등했다. 신선과일은 1991년 9월 43.9% 오른 뒤로 32년 5개월 만에 상승 폭이 가장 컸다.
품목별로는 사과가 71.0% 올랐다. 귤도 사과 대체재로 소비가 늘어난 영향으로 78.1% 뛰었다. 신선채소는 12.3% 올랐다. 지난해 3월 13.9% 오른 뒤 11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이다.
서울 강서구 소재 한 마트 강서점에서 고객들이 줄지어 물건을 고르고 있다. 홈플러스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2.5%상승해 전달과 같았다.
정부는 수입 과일에 대한 추가 관세 인하를 적용하는 물가 잡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물가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정부는 최근의 물가 상황을 엄중하게 받아들여 2%대 물가가 조속히 안착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도 무엇보다 농·축·수산물 가격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최 부총리는 “3~4월 농축수산물 할인지원에 역대 최대 수준인 600억원을 투입해 사과·배 등 주요 먹거리 체감가격을 최대 40~50% 인하하도록 하겠다”며 “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서 오렌지·바나나 등 주요 과일을 직수입해 저렴한 가격으로 시중에 공급하고 수입 과일 3종(만다린·두리안·파인애플주스)에 대해 추가 관세 인하를 적용하겠다”고 말했다.
비상 수급안정대책반을 즉시 가동해 품목별 동향을 ‘일일 모니터링” 하겠다는 방침도 내놨다.
세종=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