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4일 순항미사일 쏜 뒤 3주 가까이 '잠잠'…한미 전략자산 전개에 반발할 듯
北 "그릇된 선택은 안보 불안 가져와…응분의 대가 치르게 될 것"
전반기 한미 연합연습 '자유의 방패(FS)' 첫날인 4일 한미 공군의 대대급 연합공중훈련인 '쌍매훈련'에 참가하기 위해 공군 제11전투비행단 122대대 소속 F-15K 전투기가 공군 오산기지에 전개하여 이동하고 있다. (공군 제공) 2024.3.4/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박응진 기자 = 올해 들어 최장기간 '도발 휴지기'를 가진 북한이 무력시위 재개를 시사했다. 전날부터 시작된 한미 연합연습에 반발하는 국방성 명의의 담화를 발표하며 긴장을 다시 고조시키기 시작했다.
북한은 지난 1월 5일부터 7일까지 사흘 연속 서해 완충구역에 총 350여발의 포격을 가하며 연초부터 자극적인 무력도발을 했다. 같은 달 14일엔 고체연료 추진체계 적용 극초음속 중거리탄도미사일(IRBM)로 추정되는 중거리급 추정 탄도미사일을 쐈고, 19일엔 수중핵무기체계 '해일-5-23'을 시험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1월 24일부터 2월 14일까진 모두 5차례에 걸쳐 다양한 지역에서 상이한 플랫폼을 활용해 순항미사일을 쏘아 올렸다. 북한이 이처럼 순항미사일을 집중적으로 발사한 건 이례적인 일이기도 했다. 2월 11일엔 240㎜ 조종방사포탄 탄도조종 사격시험을 진행했다.
그랬던 북한은 원산 동북방 해상에서 순항미사일을 쏜 2월 14일 이후 전날까지 19일 동안 무력도발을 중지했다. 이는 올해 들어 가장 긴 도발 휴지기다.
다만 전날부터 오는 14일까지 11일간 실시되는 올 전반기 한미 연합연습 '자유의 방패'(FS·프리덤실드)를 계기로 북한이 도발을 재개할 수 있다는 관측이 군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연초까지 수시로 남북을 '적대적 교전국 관계'로 규정하며 남북관계의 적대적 전환을 시도한 북한의 입장에선 이번 FS가 충분한 도발의 명분이 될 수 있다.
한미 연합연습을 '북침 전쟁연습'이라고 주장해 온 북한은 지난해 후반기 한미연합연습 '을지 자유의 방패'(UFS·을지프리덤실드)가 진행된 기간엔 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탑재한 '천리마 1형'의 발사를 시도하고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 2발을 쏘는 등 도발을 단행한 바 있다.
올해 전반기 한미 연합연습 '자유의 방패'(FS·프리덤실드) 첫날인 4일 경기 평택시 팽성읍 주한미군기지 캠프 험프리스에서 아파치 헬기가 비행하고 있다. 2024.3.4/뉴스1 ⓒ News1 김영운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번 FS 기간엔 작년보다 2배 이상 늘어난 48차례의 실기동훈련(FTX)이 예정돼 있는 가운데 북한이 특히 민감하게 반응하는 미군의 전략폭격기나 원자력추진 잠수함 등이 한반도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관련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전날 "북한은 유리한 전략환경을 조성하고자 연합훈련과 한미 선거 일정에 맞춰 다양한 도발을 시도할 가능성이 있다"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실제로 북한 국방성은 이날 오전 발표한 성명에서 FS를 겨냥해 "미국과 대한민국은 자기들의 그릇된 선택이 가져올 안보 불안을 각일각 심각한 수준에서 체감하는 것으로써 응분의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위협했다.
국방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무력은 적들의 모험주의적인 행동을 계속 주시할 것이며 조선반도 지역의 불안정한 안보 환경을 강력히 통제하기 위한 책임적인 군사 활동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한미 군 당국은 이번 FS를 빌미로 북한이 무력도발을 벌일 수 있다고 보고 정찰기를 띄우는 등 대북경계·감시태세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일각에선 북한이 러시아로 보낼 무기를 비축하기 위해 무력도발을 중단한 것이라는 분석도 내놓는다. 러시아에 지원된 북한의 무기 중엔 주로 대남 도발용으로 활용하는 SRBM 등이 다수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신 장관은 지난달 26일 기자간담회에서 "지난해 8월 말부터 최근까지 6700여개의 컨테이너가 (러시아로) 갔다. 152㎜ 포탄이면 300만 발 이상, 122㎜ 방사포탄 기준 50만 발 이상으로 추정된다"라고 밝힌 바 있다.
신 장관은 "북한 군수공장 수백개의 가동률은 원자재난, 전기난 등을 고려해 30% 정도 수준으로 평가되지만 러시아로 제공되는 무기, 포탄 등의 공장들은 풀가동이 되고 있다"라고 부연했다.
pej86@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