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노조연대, 노동안전 실태조사 발표
‘형식적 안전보건교육’도 문제로 꼽혀
삼성전자 “일부 답변을 사실로 과장”
‘반도체노동자의건강과인권지킴이’ 반올림이 지난 3일 고 황유미씨 유해가 뿌려진,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의 한 야산을 찾아 영정 앞에 삼성 전자계열사 노동안전보건실태 조사연구보고서를 놓아뒀다. 황씨는 삼성전자 반도체공장에서 일하다 급성백혈병에 걸려 2007년 숨진 노동자다. 반올림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삼성 전자계열사 노동자들이 불이익을 우려해 산재 신청을 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회사의 안전보건교육이 형식적으로 진행돼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증언도 있었다.
금속노조·전국삼성전자노조 등이 참여하는 ‘삼성 전자계열사 노조 연대’는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삼성 전자계열사 노동안전보건실태 조사연구보고서 발표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지난해 7월부터 약 7개월간 삼성전자 761명, 삼성전자서비스 894명, 삼성SDI 36명, 삼성전자판매 110명 등 4개 사업장 노동자 총 1801명이 이번 조사에 참여했다. 노조 연대의 의뢰를 받은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반도체노동자의건강과인권지킴이’ 반올림이 온·오프라인 설문조사, 심층 면접 등의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보고서를 보면 지난 1년간 업무상 사고나 질병을 겪었지만 산재 신청을 하지 않은 이유는 ‘증상이 미약해서’를 제외하면 ‘불이익을 우려해서’가 가장 많았다. 삼성전자는 26.0%, 삼성SDI는 47.4%, 삼성전자서비스는 5.5%, 삼성전자판매는 33.3%였다. 보고서는 “노조가 강력한 삼성전자서비스를 제외하면 모든 회사에서 ‘불이익 우려’가 압도적으로 높았다”고 설명했다.
금속노조가 지난해 발표한 ‘삼성 고과제도의 현황과 폐해 실태 연구’ 보고서엔 실제로 산재 은폐 증언이 나온다. 삼성SDI 노동자 A씨는 “업무하다가 다치면 안전사고인데 그냥 숨긴다. 고과 평가에 안전사고 항목이 있는데 사원한테 책임을 다 묻는다. (산재) 은폐가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업무상 사고와 질병으로 의심돼도 노동자 스스로 치료비를 부담하는 사례도 적지 않았다. 사고, 근골격계 질환 등 산재라는 걸 상대적으로 쉽게 알 수 있는 경우엔 산재 신청이 일부 있었지만 대부분 질병은 노동자가 스스로 치료비를 감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산재 신청이 고과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제도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조사에 응한 노동자 절반 이상은 ‘안전보건교육이 형식적으로 진행돼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사업장별 응답률을 보면 삼성전자 61.2%, 삼성전자서비스 57.8%, 삼성전자판매 64.7%, 삼성SDI 67.6%가 이같이 답했다.
4개 회사 노동자 모두 안전보건교육이 도움이 되지 않는 이유 1순위로 ‘온라인 교육의 한계’를 꼽았다. ‘교육에 집중할 만한 시간을 내기 어려워서’ 혹은 ‘별도의 교육시간이 배정되지 않아서’라는 응답도 많았다. 보고서는 “이는 회사가 안전보건교육을 업무의 하나로 인정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짚었다.
면접조사에선 자신의 직무와 맞지 않는 일률적 교육내용이 문제라는 점도 확인됐다. 삼성전자 가전 분야에서 일하는 노동자 B씨는 “교육내용을 보면 유해화학물질, 반도체 쪽이 나온다. 우리가 하는 일하고는 안 맞다고 생각해 사람들이 안 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측은 “특정 시점에 일부 응답자의 일방적 답변을 사실인 것처럼 과장했다”며 보고서 내용이 허위주장이라고 밝혔다.
☞ 삼성 전자계열사 노동자 “정신건강 적신호”…수면장애·우울증 비율 높아
https://m.khan.co.kr/national/labor/article/202403040600111#c2b
김지환 기자 baldkim@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진보? 보수? 당신의 정치성향을 테스트해 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