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한국, 메모리 반도체 세계 최고 경쟁력”
저커버그 “삼성, 파운드리 거대기업... 중요한 위치”
AI반도체, TSMC에만 의존 안된단 공감대
가짜뉴스 지적에 저커버그 “韓선관위와 협력 가능”
저커버그 “삼성, 파운드리 거대기업... 중요한 위치”
AI반도체, TSMC에만 의존 안된단 공감대
가짜뉴스 지적에 저커버그 “韓선관위와 협력 가능”
윤석열 대통령이 29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를 만나 악수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석열 대통령이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를 만나 AI 반도체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윤 대통령은 이와 함께 선거를 앞두고 가짜뉴스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당부하기도 했다.
29일 성태윤 정책실장은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갖고 “윤 대통령이 오전 10시 10년 만에 한국을 방문한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를 접견했”며 “30분간 대화를 가지면서 열린 AI 디지털 생태계 조성을 위한 비전과 메타와 한국기업간 협력강화 방안을 논의하고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사회구현을 위한 메타의 역할 필요성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특히 AI 기술에 반도체가 필수인 만큼 이에 대한 협력을 당부했다.
성 정책실장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최근 AI 기술이 데이터센터, 자율주행차, 사물인터넷 등 다양한 분야로 적용이 확대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AI 경쟁이 본격화하고 글로벌 빅테크 중심 반도체 확보에 사활을 건다”고 언급하고 “메모리에서 한국 기업이 세계 1, 2위를 차지하는 등 세계최고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이야기하면서, 한국 기업들과의 긴밀 협력을 당부했다.
이와 관련해 저커버그 CEO는 한국에 부품을 많이 의존하고 있지만 현재와 같이 취약성이 높은 시기에 대만 TSMC에 의존하는 것에 대한 이슈를 이야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저커버그 CEO는 또 “특히 삼성이 파운드리 거대기업으로 글로벌 경제상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에, 이러한 부분들이 삼성과의 협력에 있어서 중요한 포인트가 될 수 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의 위협을 받고 있는 대만에 위치한 TSMC의 지정학적 특성상 TSMC에만 의존하는 것은 위험하다는 뜻을 간접적으로 밝힌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이에 대해 윤 대통령은 “삼성전자 AI반도체, 시스템반도체 부분에서 투자가 이뤄질 수 있도록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서울 인근의 투자에 관해서도 이미 정부의 지원이 이어지고 있다”고 화답했다.
확장현실(XR) 관련 논의도 이어졌다.
윤 대통령은 “메타버스에 중요한 하드웨어 플랫폼으로 부상하는 XR 확장현실 헤드셋 분야에서 메타가 하드웨어에 강점 갖는 한국 기업과 협력한다면 큰 시너지를 낼 것”이라며 “메타가 상상하고 설계한 것을 한국산업이 적극적으로 지원할 준비가 되어 있다” 말했다고 성 정책실장은 설명했다.
선거를 앞둔 가짜뉴스 대응도 의제가 됐다. 최근 틱톡과 메타 등 SNS에선 ‘가상으로 꾸며본 윤 대통령 양심고백 연설’이라는 제목의 조작영상이 퍼진 바 있다.
윤 대통령은 최근 늘어나고 있는 AI를 악용한 가짜뉴스와 허위선동 조작은 자유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임을 지적했다. 특히 “올해는 전세계 여러 국가에서 선거가 있는 만큼 메타와 같은 빅테크 플랫폼 기업들이 가짜뉴스와 각종 기만행위들은 신속하게 모니터링하고 조치할 수 있도록 각별한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저커버그 CEO는 이에 대해 “메타의 경우 선거에 대한 부정행위를 막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을 하고 있다”며 “예를 들면 워터마크나 레이블을 통해 해당 영상이 AI 등에 의해 생성된 것인지 등을 정보를 제공하며 투명성을 제고하는 방안이 있다”고 언급했다고 한다.
또 한국 선관위를 포함해 다른 나라 정부들과 가짜영상, 가짜정보 유포 제어를 위한 정부와의 협업이 광범위하게 이뤄질 수 있다고도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