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에듀플러스] “AI발전·기후·인구·산업변화…교육 통해 발전 방안 모색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국가교육위원회가 27일 제1차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사진은 제25차 국가교육위원회 의제 설명하는 이배용 위원장.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령화, 인구 축소, 기후 위기 등 인류사에 유례없는 변화가 몰아치고 있다. 교육 역시 변화에 걸맞은 혁신이 요구된다. 사회적으로 중요한 전환기를 맞아 변화할 교육의 미래를 진단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국가교육위원회(국교위)는 서울 중국 은행회관에서 '대전환의 시대 우리 교육의 길'을 주제로 올해 첫 대토론회를 27일 개최했다.

참석자들은 공통으로 인류가 산업·인구·기후 변화 등 중요한 변화의 순간에 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거대 변화에 대응하는 교육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상욱 한양대 철학과·인공지능학과 교수는 미래 사회의 큰 변화 중 하나로 인공지능(AI)을 꼽았다. AI와 인간의 상호보완을 통해 함께 발전 방향을 고민하고, 교육을 통해 남은 과제를 풀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우리가 필요한 것은 기술 발전에 어떻게 대응할지를 수동적으로 고민하기보다 사회, 인간과 어떻게 상호발전할 수 있을지를 주도적으로 고민해야 한다”면서 “교육의 핵심은 디지털 기술이 하지 못하는 융합적이고 통합적인 미래 문해력을 키워야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자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용석 KAIST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는 크게 인구구조의 변화를 ▲인구감소 고령사회 대응 ▲인구감소 고령사회 적용 ▲다문화 이민사회 ▲남북통일 등 4가지로 진단했다. 이 변화 속에서 이제는 인구가 아닌 인재, 즉 인구수가 아닌 인재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는 게 서 교수의 주장이다.

그러면서 ▲고령사회 대비를 위한 평생학습의 필수 ▲이공계 인재의 유출 대비 ▲다문화 인재를 활용하기 위한 '글로벌 인재청' 구성 등을 교육 대안으로 꼽았다. 서 교수는 “우리가 미래에 대해 어떤 비전과 목표를 세우느냐에 따라 현재를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윤순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원장은 기후의 변화에 주목했다. 윤 교수의 진단에 따르면 기후의 급격한 변화는 생태환경 변화를 유발할 뿐 아니라 인류 역사까지도 위협하고 있다. 단기적으로 인류가 마주한 위협이 사회 양극화 등 사회적 문제라면, 장기적으로는 극한 기상 이변이나 생태계의 붕괴, 천연자원 부족 등 대부분 기후 변화에 따른 것이다.

윤 교수는 기후 위기와 탄소중립 교육의 방향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생활 속 기후 친화 실천과 더불어 에너지 생산자 되기, 환경 변화 공약을 내건 정치적 참여자 되기, ESG 경영을 실천하는 기업 투자하기 등 시민의 기후 행동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지희 기자 easy@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