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팔상도 국보 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석씨원류응화사적' 도상 활용해 제작

조선 후기 팔상도의 새로운 전형 제시

조선 후기 팔상도를 대표하는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가 국보로 지정된다. 문화재청은 한 달간 각계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정 여부를 확정한다고 27일 전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03년 보물로 지정된 불화다. 송광사 영산전에 봉안하기 위해 영산회상도 한 폭과 팔상도 여덟 폭으로 제작됐다. 팔상도는 석가모니 생애에서 역사적 사건을 여덟 가지 주제로 표현한 불화. 불교문화권에서 공유된 팔상의 개념을 바탕으로 한다.

주제와 도상, 표현 방식은 나라마다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에선 조선 초기 '월인석보(月印釋譜)' 변상도(불교 경전의 내용이나 교리를 알기 쉽게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그림)를 차용한 팔상도가 제작됐다. 조선 후기에는 '석씨원류응화사적'에서 제시된 도상이 유행했다.

당시를 대표하는 작품이 바로 순천 송광사 팔상도다. 화기(그림 제작과 관련해 발원자, 작가 등의 내용을 담은 기록)를 통해 조선 영조 1년(1725)이라는 제작 연대와 의겸(義謙) 등 제작 화승을 명확히 알 수 있다.

문화재청 측은 "한 전각에 영산회상도와 팔상도를 동시에 조성해 봉안한 가장 이른 시기 작품으로 확인된다"며 "팔상도와 영산회상도 모두 석씨원류응화사적의 도상을 활용해 만들어져 일괄 불화로서 완전함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조선 후기 영산회상도의 다양성과 팔상도의 새로운 전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팔상도 각 폭이 영산회상도를 중심으로 통일된 필선과 색채를 유지한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는 특징이다. 수많은 화제로 구성된 팔상의 인물들도 섬세한 필치로 묘사됐다. 문화재청 측은 "전각과 소나무를 이용해 공간성을 확보하고, 사건에 따른 시공간 전환을 자연스럽게 처리하는 등 구성과 표현에서도 예술적 가치도 뛰어나다"고 전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